무더위 속 온열질환 완벽 대비법
Last Updated :

무더운 여름, 온열질환 경계해야 할 이유
여름철 뜨거운 햇볕 아래 장시간 활동하면 체온이 급격히 상승해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열에 장기간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온열질환'이라 부르며,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심할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와 예방이 필수적입니다.
온열질환 종류와 증상
- 열사병: 체온 조절 중추가 외부 열 자극을 견디지 못해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으로, 체온이 40℃를 초과하고 땀이 나지 않는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 혼수상태, 두통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신속한 조치 없이는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온열질환입니다.
- 열탈진: 과도한 땀 배출로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 발생하며, 차고 젖은 피부, 극심한 무력감, 근육경련, 어지럼증 등이 나타납니다. 체온은 보통 40℃ 이하로 열사병보다는 덜 위험하지만 방치 시 열사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열경련: 땀으로 인한 수분과 전해질 손실로 근육 경련과 통증이 발생하며, 특히 더운 환경에서 강한 노동이나 운동 후에 흔히 나타납니다.
- 열부종: 체온 상승으로 혈액량 변화가 일어나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발이나 발목이 붓는 증상입니다.
- 열실신: 체온 상승에 따른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일시적 의식 소실과 어지러움증이 나타나며, 주로 오래 서 있거나 갑자기 일어날 때 발생합니다.
온열질환 고위험군
특히 다음과 같은 분들은 온열질환에 더욱 취약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령자: 땀 배출과 체온 조절 기능이 저하되고 만성질환이 많아 위험이 큽니다.
- 어린이: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고 열 흡수율이 높아 위험합니다.
- 만성질환자: 심뇌혈관질환, 고혈압, 저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등 다양한 만성질환자는 체온 조절과 혈압 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온 환경 작업자: 건설, 공장, 농장 등에서 일하는 분들은 온열질환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 사회적 취약자: 음주자, 장애인, 저소득층, 노숙자, 독거노인 등은 적절한 냉방과 온도 인지가 어려워 위험합니다.
폭염 대비 필수 수칙
- 시원하게 지내기: 자주 샤워하고, 밝고 헐렁한 옷을 입으며, 외출 시 양산이나 모자를 착용해 햇볕을 차단합니다.
- 수분 자주 섭취하기: 갈증이 없어도 규칙적으로 물을 마시되, 신장질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조절합니다.
- 더운 시간대 활동 자제: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야외 활동을 피하고 시원한 곳에 머무릅니다. 고온 작업 시에는 규칙적인 휴식과 수분 섭취가 필수입니다.
- 기상 상황 수시 확인: 기온과 폭염특보를 자주 확인해 대비합니다.
온열질환 발생 시 응급처치 방법
- 시원한 장소로 이동: 즉시 환자를 에어컨이 있는 실내나 그늘진 곳으로 옮깁니다.
- 체온 낮추기: 옷을 느슨하게 하고, 시원한 물수건이나 부채, 얼음주머니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를 식힙니다.
- 수분 보충: 의식이 있을 경우 물이나 스포츠음료를 천천히 마시게 합니다. 의식이 없으면 음료를 주지 않습니다.
- 즉시 119 신고: 증상이 심하거나 의식이 없으면 신속히 119에 신고해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합니다.
건강한 여름 나기
온열질환은 예방과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평소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하게 지내며, 더운 시간대 야외 활동을 피하는 기본 수칙을 철저히 지켜 건강한 여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필요 시 의료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자료: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무더위 속 온열질환 완벽 대비법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24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