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보이스피싱 정보 실시간 공유로 범죄 차단 강화

금융사 보이스피싱 정보 실시간 공유로 범죄 차단 강화
금융위원회는 29일, 모든 금융회사가 보이스피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정보공유·분석 AI 플랫폼'(ASAP)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 플랫폼은 AI 기반 분석을 통해 국제 사기조직과 해외 의심계좌를 신속하게 차단하고, 신종 범죄에 대한 대응력을 한층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번 출범식에는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국무조정실, 경찰, 금융감독원 등 유관 부처와 기관, 금융협회장 및 보이스피싱 방지 업무 전문가들이 참석해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과 정책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ASAP 플랫폼은 금융, 통신, 수사 과정에서 수집된 보이스피싱 의심 정보를 참여 기관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AI 패턴 분석을 통해 범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130개 금융회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9개 유형, 90개 항목에 달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있다.
공유되는 정보는 피해자 계좌 정보 14개, 범죄에 이용된 계좌 정보 18개, 의심 계좌 정보 15개, 해외계좌 정보 8개, 기타 사고 파악 정보 12개, 위조 신분증 정보 8개, 경찰 수사 관련 정보 4개, 피싱사이트 탐지 정보 5개, 악성앱 탐지 정보 6개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특히 피해자 계좌와 범죄에 활용된 계좌, 해외 보이스피싱에 이용된 해외계좌 정보는 모든 참여 기관이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선제적이고 신속한 범죄 차단이 가능해졌다.
금융보안원은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AI 학습을 통해 위험 지표 산출 공동 모델을 개발 중이며, 금융사들은 이를 직접 구동하거나 API 호출 방식으로 보이스피싱 탐지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해외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의 국제 사기 행각에 적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이번 플랫폼 출범은 조직적인 사기 범죄 차단 효과를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개별 금융회사의 단편적 정보에 의존하지 않고, 전 금융권의 보이스피싱 의심 계좌와 연계 계좌를 통합적으로 파악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AI 탐지 모형을 통해 최신 범죄 수법에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AI 분석을 통한 공동 탐지 모형 개발과 공유는 기존에 개별 금융회사별로 분산되어 있던 탐지 체계를 전 금융권 공동 학습과 공동 방어 체계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금융회사 간 전산화된 방식으로 신속한 정보 교환도 가능해져 피해자 구제 업무도 더욱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ASAP 플랫폼은 은행과 제2금융권뿐 아니라 통신사, 수사기관 등도 순차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며,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과 연계해 보이스피싱 피해자를 원스톱으로 구제하는 협업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금융회사의 보이스피싱 방지 역량과 책임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고, 금융권이 AI 등 첨단기술로 무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정부와 유관기관, 업계가 긴밀히 소통하고 협업하는 체계가 확고히 자리 잡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