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로 주민안전 지키는 자치경찰 연구개발

경찰청, 첨단기술 활용 자치경찰 연구개발사업 추진
경찰청은 과학치안진흥센터와 협력하여 2027년까지 자치경찰 연구개발 사업 2차 과제를 추가 선정하고, 개발과 실증을 거쳐 현장에 배치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서울·전북 맞춤형 치안기술 개발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동국대가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와 협력해 진행하는 '인공지능(AI) 활용 실종 아동 수색 및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사업 지원 플랫폼'과 전주대가 전북 자치경찰위원회와 협력하는 '순찰 로봇 및 영상 센서 활용 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이다.
지역 특성 반영한 과학치안 기술 개발
경찰청은 2022년부터 2027년까지 국비 107억 원을 투입해 지역별 연구기관, 자치경찰위원회, 시·도 경찰청과 협력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치안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할 과학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연구기관과 자치경찰 사무기관 간 협업체계를 구축해 치안현장에 과학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1차 사업 성과와 2차 사업 내용
지난 2023년 선정된 1차 사업으로는 대구 테크노파크가 대구 자치경찰위원회와 협력해 여성과 어린이의 안심귀가를 위한 인공지능 데이터 기반 범죄 취약지구 디지털 순찰서비스를 개발 중이며, 제주테크노파크는 제주 자치경찰위원회와 협력해 교통사고 및 혼잡 예측과 확산 방지를 위한 현장 데이터 기반 교통현장 관리지원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2차 사업 중 서울 지역 과제는 AI 분석 기술을 활용해 학교 주변 아동의 이상행동을 조기에 감지하고, 실종 아동 발생 시 CCTV 영상에서 신속히 흔적을 탐지해 조기 발견을 지원한다. 또한 서울 시내 공간 정보와 범죄 통계를 통합 분석해 범죄 예측 모델을 개발, 범죄예방 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전북 지역 치안 문제 해결 위한 순찰로봇 개발
전주대가 주관하는 전북 지역 과제는 전주천 산책로 주변 야간 범죄 예방과 시민 불안 해소를 목표로 한다. 전주천은 성공적인 하천 복원사업으로 시민들이 많이 찾는 생태하천이지만, 산책로에 가로등 설치가 어려워 야간 안전에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전주대는 야간 적외선 감지와 인공지능 기반 이상행동 탐지 기능을 갖춘 자율순찰 로봇을 개발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공중화장실 내 불법촬영 예방을 위한 감지시스템도 개발한다. 기존 감지시스템의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화장실 내 모든 공간에 센서를 부착, 불법 촬영을 원천 차단할 예정이다.
과학치안 기술 현장 적용과 기대 효과
자치경찰 수요기반 지역 문제해결 연구개발사업은 2027년 연구 종료 후 실증 결과에 따라 개발된 과학기술 성과물을 치안현장에 배치할 계획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청과 자치경찰위원회, 시·도 경찰청, 지역 연구기관이 협력해 지역 치안 문제를 해결하는 과학치안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자치경찰의 범죄예방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