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북극항로·AI로 해양수도권 미래 선도

해수부, 내년 해양수도권 조성 등 새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 투자
해양수산부는 2026년 예산을 올해보다 8.1% 증가한 7조 3,287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예산 증액은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고, 해양수산 전 분야의 인공지능(AI) 전환 지원 등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와 기후 위기 대응 사업에 중점을 둔 결과다.
북극항로 시대 주도하는 해양강국 전략
북극항로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최단거리 해상 경로로, 물류비용 절감과 조선, 금융, 자원 등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해수부는 북극 진출 기반 조성을 위해 쇄빙선과 내빙선 등 극지항해 선박 건조 지원에 올해 79억 원에서 677억 원으로 8배 이상 투자 규모를 확대한다. 또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와 극지해기사 양성 교육 시스템 구축에도 힘쓴다.
이와 함께 북극 화물별 거점 항만 육성, 친환경·스마트 항만 조성, 친환경 선박 보급 확대 등도 추진한다. 항만 인프라 확충에 1조 6,600억 원을 투입해 해양수도권 조성 등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할 계획이다.
경쟁력 있는 수산업과 활력 넘치는 어촌 조성
수산어촌 분야 예산은 3조 4,563억 원으로 8.4% 증가했다. 생산-유통-가공-수출 전 과정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 양식 전환과 첨단 양식설비 보급 확대에 집중한다. 유통 분야에서는 계약생산 지원과 위판장·도매시장 자금 지원을 확대해 수산물 유통을 원활히 한다.
수출·가공 분야에서는 노후 설비 교체와 판로 개척, 현지 홍보 강화로 수출 확대를 도모한다. 어촌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어촌 경제·생활거점 34곳을 신규 조성하고, 청년 어촌 정착 지원도 확대한다. 섬 주민 대상 비대면 의료 서비스인 어복버스 운영도 본격화한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고수온 피해 예방과 재해 대응장비 보급, 재난지원금 확대 등 피해 지원 예산을 493억 원으로 늘리고, 연안 안전 정비와 갯벌 복원, 바다숲 조성 등 온실가스 저감 사업도 강화한다.
미래로 나아가는 역동적 해양산업 육성
해양 신산업 육성을 위해 AI 응용제품 상용화 지원 등 AI 전환 예산을 1,483억 원으로 편성했다. 해양수산 기업 사업화 지원과 연안 소재 기업 특화 펀드 조성 등 투자도 확대한다. 해상풍력특별법 시행에 맞춰 해상풍력 입지 분석과 어업인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도 신규로 추진한다.
해양바이오 산업에서는 충남 서천과 전남 완도에 해양바이오 소재 대량생산 플랜트와 스마트 팩토리 등 권역별 특성화 거점을 구축한다.
굳건한 해양주권과 안전한 바다 관리
해양 주권 강화를 위해 불법어업 대응 예산을 1,122억 원으로 늘리고, 해양연구선 건조와 AI 기반 해양영상 분석기술 개발 등 첨단기술 활용에 투자한다. 해상교통 안전을 위한 GPS 전파 혼신 대응 장비 보급과 해상안개관측 시스템 구축 등 신종 사고 대응 체계도 강화한다.
스마트 선박안전지원센터 건립 등 사고 예방 대응체계 예산도 확대했다. 해양폐기물 저감을 위해 어구·부표 보증금제 대상을 확대 시행한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내년도 예산 편성은 당면한 문제 해결과 해양수도권 조성 등 새 정부 국정운영 계획의 성공적 이행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