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10개월 만에 300만 돌파, 환급 혜택 확대
K-패스 이용자 300만 명 돌파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난해 5월 1일 도입한 K-패스 이용자가 10개월 만에 3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200만 명 돌파 이후 7개월 만에 이룬 성과로, 국민 대중교통비 부담 완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월평균 1만 8000원 환급, 청년·저소득층 혜택 두드러져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월 최대 60회까지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해 주는 제도다. 지난해 이용자들은 월평균 6만 8000원의 대중교통비 중 약 1만 8000원(26.6%)을 환급받았다.
특히 청년층과 저소득층은 각각 월평균 2만 원과 3만 7000원을 환급받아 대중교통비 부담 경감에 큰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용자 만족도 92.4%, 편리성과 확장성 높이 평가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92.4%가 K-패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주요 장점으로는 교통비 절감, 알뜰교통카드 대비 편리성 증대, 지자체 지원사업과 연계 가능한 확장성을 꼽았다.
서비스 지역 및 혜택 지속 확대
K-패스는 도입 이후 적용 지자체를 점차 확대해 올해 1월 기준 210개 기초 지자체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2자녀 30%, 3자녀 이상 50% 환급률을 신설했다.
광역지자체들도 지자체 맞춤형 K-패스를 도입해 추가 예산을 투입, 맞춤형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경기, 인천, 부산, 세종, 광주, 경남 등 6개 광역지자체에서 연계사업을 시행 중이며 울산시도 준비 중이다.
이용자 편의성 강화 위한 앱 및 누리집 개선 예정
K-패스 앱과 누리집(korea-pass.kr)은 이달 중 개선되어 카드 미발급자에게 발급 유도창을 신설하고, 카드별 추가 혜택과 한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카드 페이지를 개편할 계획이다.
강희업 위원장, "국민 부담 경감 대표 정책 자리매김"
강희업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위원장은 "사업 시행 10개월 만에 이용자 300만 명을 돌파하며 K-패스가 국민 대중교통비 부담 경감의 대표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지자체 맞춤형 사업 발굴을 위해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