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문자 원천 차단 X-ray 서비스 시범 운영
Last Updated :
악성문자 원천 차단 X-ray 서비스 시범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9일부터 스미싱 등 악성문자를 발송 단계에서부터 차단하는 '악성문자 사전차단 서비스(X-ray)'를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서비스는 지난해 11월 수립된 '불법스팸 방지 종합 대책'의 일환으로, 스미싱 문자 발송 자체를 원천 차단하여 국민들이 악성문자로 인해 겪는 불편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기존에는 국민이 스미싱 등 악성문자를 수신한 후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 등을 통해 KISA에 신고하면, KISA가 신속하게 악성 여부를 판단하고 악성코드 다운로드나 사기 사이트 접속을 방지하는 안내를 제공하며, 발신번호와 인터넷주소(URL)를 차단하는 대응체계를 운영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미 대량으로 발송된 악성문자를 수신한 국민이 직접 신고, 판단, 조치하는 불편이 있었고, 일부는 실수로 악성문자를 클릭해 개인정보 유출이나 재산 피해를 입는 사례도 발생해 효과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번 시범 서비스는 KISA가 스미싱 확인서비스 운영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문자판매사 (주)에스엠티엔티가 우선 도입해 적용할 예정입니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악성문자 X-ray 서비스 시범 운영은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디지털 범죄에 대응하는 좋은 선례를 만드는 것"이라며, "스미싱 등 악성문자에 따른 국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악성문자 차단 서비스 확산을 지속 추진하고 디지털 민생 안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악성문자 원천 차단 X-ray 서비스 시범 운영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23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