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도 폭염 속 의용소방대 수해 복구 구슬땀

37도 폭염 속 의용소방대 수해 복구 구슬땀
2025년 7월 26일, 충남 예산군 신암면의 한 멜론 농가에서 의용소방대원 82명과 소방공무원 9명이 폭염과 수해 복구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렸다. 이날 전국 낮 최고기온은 37℃에 달했으며, 예산군은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평균 434㎜의 집중호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큰 피해를 입었다.
피해를 입은 멜론 농가의 비닐하우스 30개 동은 모두 침수되어 농작물 피해가 막대했다. 의용소방대원들은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 복구 작업에 나섰으며, 91명이 힘을 합쳐 불과 세 시간 만에 작업을 마쳤다. 비닐하우스 내부는 마치 화재 현장처럼 뜨거웠지만, 대원들의 의지는 더욱 뜨거웠다.
의용소방대의 역할과 전국적 지원
의용소방대는 화재 진압과 구조 등 소방 업무를 보조하는 민간 봉사 조직으로, 전국에 3979개 대대에 9만 2484명의 대원이 활동 중이다. 이들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지휘 아래 재난 현장에 신속히 출동해 주민 안전과 피해 복구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여름철 풍수해 기간에도 5만 5000여 명의 대원이 1만 1810회에 달하는 순찰과 안전 조치, 주민 대피, 수색 등을 수행했다.
이날 예산 현장에는 충남과 대전 의용소방대도 지원에 나섰다. 대전시청에서 출발한 대원들은 냉방차가 대기하는 현장에서 온열질환 예방에 신경 쓰며 복구 작업에 임했다.
피해 농가의 절박한 심정과 감사의 마음
수해로 인해 멜론 농가의 비닐하우스 30개 동이 침수되면서 약 3억 원 상당의 농작물이 피해를 입었다. 농가 주인 구현숙 씨는 30년 농사 경력 중 처음 겪는 큰 피해에 "억장이 무너진다"며 안타까움을 전했다. 그러나 의용소방대원들의 도움에 깊은 감사를 표하며 "울고불고해도 소용없으니 내년을 기약할 뿐"이라고 말했다. 주변 농민들도 망연자실한 상태다.
복구 작업의 구체적 과정과 대원들의 헌신
복구는 멜론 덩굴 줄기 제거, 검은 비닐 제거, 점적호스 수거, 지주대 바인더 끈 제거 순으로 진행됐다. 대원들은 각자의 생업에도 불구하고 익숙한 손길로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했다. 비닐하우스 내부의 무더위와 진흙 속에서도 포도당 사탕과 물을 마시며 온열질환 예방에 힘썼다.
대전 의용소방대 이재영 방호부장은 "피해 농가에 작은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 농가의 심정을 깊이 이해했다.
의용소방대 출동과 조직 구성
의용소방대 출동 현장은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해 선정되며, 이번 예산 수해 복구는 예산군청의 추천으로 진행됐다. 같은 날 충남 천안과 홍성에서도 각각 오이와 딸기 농가 수해 복구에 의용소방대원이 투입됐다. 전국 의용소방대원들은 10월까지 여름철 풍수해 대비와 사후 복구에 힘쓸 예정이다.
의용소방대의 전문성과 다양한 역할
의용소방대는 화재 진압, 구조, 구급뿐 아니라 중장비 전문대, 드론 전문대, 수난 전문대 등 다양한 전문 분야로 구성되어 재난 현장에 대응한다. 충남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따르면 자격을 갖춘 전문 인력으로 '전문의용소방대'를 구성하고 있다.
소방청 관계자는 "의용소방대는 다문화 의용소방대, 실종자 수색 드론 전문대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면 단위 지역에서 소방 공무원 부족을 보완하는 중요한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의용소방대원의 자부심과 활동 현장
의용소방대원은 법률에 따라 시·도지사 또는 소방서장이 봉사정신이 투철한 주민을 선정해 임명한다. 18년째 활동 중인 대전 김동관 대원은 "제복을 입는 순간 자부심이 생긴다"고 말했다. 의용소방대는 제복과 신분증을 지급하며 대장부터 대원까지 직급 체계가 있다. 정년은 65세다.
전국의용소방대연합회 부회장 안연식 충남 여성대 연합회장은 수해와 산불 현장 경험을 전하며 "'애썼다'는 한마디가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의용소방대원이 된 계기로 지인 집 화재 현장에서 도움을 주고자 결심한 사연을 소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