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낙동강 녹조 경보제 대폭 개선

환경부, 낙동강 녹조 경보제 대폭 개선
환경부는 기후위기로 인해 심각해진 녹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연말까지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이재명 정부 임기 내에 해결의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첫 단계로, 그동안 개선 요구가 많았던 조류경보제의 채수 위치를 조정하고 경보 발령 시점을 채수 당일로 앞당기는 제도 개선을 이달 말부터 즉시 시행할 계획이다.
현재 낙동강 하천 4개 지점인 경북 구미 해평, 대구 강정·고령, 경남 창녕 칠서, 경남 김해 물금·매리에서 운영 중인 조류경보제는 취수구 상류 2~4km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실제 취수구로 유입되는 녹조 상황과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시료 채취부터 분석, 경보 발령까지 약 3.5일이 소요되어 녹조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는 문제점도 제기됐다.
이에 환경부는 채수 위치를 수돗물 생산을 위한 원수 취수구 인근 50m 이내로 조정해, 취수구 인근의 정확한 녹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수 처리 강화 등 대응의 실효성을 높일 방침이다.
아울러, 채수 후 즉시 남조류 세포수를 분석할 수 있도록 분석 체계를 개선해 경보 발령을 채수 당일에 할 수 있도록 전환한다.
이를 위해 해평취수장과 칠서취수장에는 이동형 수질분석차량을 각각 1대씩 배치해 현장에서 즉시 주요 항목을 분석하고, 매곡취수장과 매리취수장은 인근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센터를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강가와 고농도 녹조 구역에 대한 감시도 병행하며, 분석 결과는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물환경정보시스템에 알림창 형태로 공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번 개선된 조류경보체계를 낙동강 하천 구간에 우선 적용한 뒤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더불어, 먹는물 안전 관리를 위해 조류경보 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연말까지 법령을 개정해 조류독소 농도까지 고려한 경보 발령 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공기 중 조류독소 조사에 대해서는 하반기부터 시료 채취 단계부터 투명하게 공개하고, 환경단체 및 전문가와 공동조사를 위한 협의를 재개해 논란 해소에 나선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등 국제적으로도 공기 중 조류독소에 대한 관리 기준이 없고 관련 연구도 제한적인 상황이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력해 녹조가 심한 지역에서 재배된 농산물에 대한 감시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가축분뇨 등 녹조 오염원 차단 등 다각적인 대책도 올해 안에 수립할 계획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조류경보제 개선을 신속히 실시하고 시민사회 및 전문가와 함께 문제를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겠다"며 "이번 정부 임기 내에 녹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