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로 국가유공자 고독사 예방 나선다

국가유공자 고독사 예방 위한 IoT 시범사업 시작
국가보훈부는 고령 및 독거 국가유공자의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 위험을 줄이기 위해 400가구를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기반 실시간 안부확인 서비스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고독사 위험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시범사업 추진 배경
보훈부는 지난 4월, 6·25전쟁과 월남전 참전 경험이 있는 국가유공자 중 사회적 고립 위험이 높은 이들을 대상으로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후 8500여 명의 취약계층 1인 가구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위험도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현관문·냉장고 문열림 센서로 실시간 안부 확인
올해 시범사업은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된 국가유공자 중 본인 동의를 거쳐 400가구에 현관문과 냉장고에 IoT 기반 문열림 센서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안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보훈부는 내년에는 전체 위험군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장 점검과 민간 협업으로 사업 추진
강윤진 보훈부 차관은 시범사업 시작을 알리며 대상 국가유공자 자택을 방문해 문열림 센서 설치 및 작동 여부를 점검했다. 이날 박영완 ㈜퀄컴코리아 상무, 소태수 ㈜루키스 대표 등 민간 협업 업체 관계자들과 함께 서울지역 고령·독거 국가유공자 자택 2곳을 방문해 생활 환경도 살폈다.
다양한 맞춤형 고독사 예방 사업과 법적 기반 마련
보훈부는 이번 IoT 안부확인 시범사업 외에도 인공지능(AI) 기반 안부 전화, 민관협업을 통한 혹서기·혹한기 찾아가는 안부확인, 복지지원 등 다양한 맞춤형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가유공자법 등 6개 법률 개정을 추진해 고독사 예방 정책의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지방자치단체의 고독사 예방사업에 국가유공자를 우선 포함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강윤진 차관의 의지
강윤진 차관은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가 합당한 보상과 예우를 받으며 건강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보훈 의료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더욱 세심하게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