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역사랑상품권 국비 지원 대폭 확대

내년 지역사랑상품권 국비 지원 대폭 확대
정부는 올해 1조 원 규모의 추경 예산으로 지원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사업을 내년에는 1조 1500억 원으로 확대해 골목상권 활성화와 지역경제 선순환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지역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둔 조치로 평가된다.
재해위험지역 정비 및 피해복구비 증액
또한 집중호우와 태풍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재해위험지역 정비 예산을 1조 488억 원으로 늘리고, 재난 피해 주민의 신속한 일상 회복을 지원하는 피해복구비도 1조 100억 원으로 증액했다. 이는 국민 안전 확보와 재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행정안전부 2026년도 예산안 규모
행정안전부는 2026년도 예산안을 총 76조 4426억 원으로 편성했으며, 이 중 지방교부세는 69조 3459억 원, 인건비 및 기본경비는 4302억 원이다. 특히 사업비는 올해 본예산 대비 43.8% 증가한 6조 6665억 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세계 최고 인공지능 민주정부 구현
정부는 인공지능(AI) 서비스의 기획부터 개발, 운영, 고도화까지 전 단계에 걸쳐 지원을 본격화한다. 범정부 AI 공통기반 구축을 통해 중복 투자 없이 신속한 AI 도입을 가능하게 하며, 내년에는 공공부문 AI 서비스 지원에 신규로 206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 전용 AI 공통 인프라를 구축해 보안 걱정 없이 업무망 내 행정 데이터를 활용한 AI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진다. 국민이 일상언어로 AI 에이전트에 요청하면 자동으로 정부 혜택을 챙겨주는 '혜택알리미 서비스'도 강화된다.
국민 안전 확보 위한 첨단기술 활용
이상기후 대응을 위해 인공지능과 드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재난 예측 및 감시체계를 구축한다. 위성, CCTV, 드론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생활안전 정보를 제공하며, AI 기반 지능형 CCTV 관제시스템 확산도 지원한다.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는 재난안전 드론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실시간 현장 상황 모니터링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돕는다. 국민안전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50억 원 규모의 국민안전산업펀드도 조성한다.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진
소상공인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에 대한 국비 지원을 확대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을 차등 지원한다.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은 인구 유입 효과가 큰 사업에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마을단위 기업 발굴과 육성 지원도 확대해 지역 주민이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소득과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돕는다. 공중화장실에는 불법촬영탐지 시스템 2500개와 비상벨 3500개를 추가 설치해 안전한 이용 환경을 조성한다.
사회통합 및 과거사 해결
내년은 '세계 자원봉사자의 해'로 지정되어 지역사회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활성화한다. 기후, 환경, 재난 등 사회문제 해결형 자원봉사 인재 양성을 위한 거점 공간도 조성한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추모관과 전시관을 조성해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고, 국가폭력 피해자 및 유가족을 위한 전문 치유 활동도 강화한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추도 사업과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 운영비 지원도 확대해 과거사 극복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할 방침이다.
예산안 심의 및 확정 절차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2026년도 예산안이 국민 행복을 최우선 목표로 편성되었으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 정부안이 충실히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예산안은 2일 국회에 제출되어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거쳐 12월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