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AI 시티 본격 추진 선언

국토부, AI 시티 추진 TF 구성 및 착수회의 개최
국토교통부는 5일 도시, 건축, 공간정보, 모빌리티 등 관련 부서와 국토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국토정보공사(LX) 등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AI 시티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착수회의를 개최했다.
AI 시티란 무엇인가
AI 시티는 기존 스마트시티를 뛰어넘는 미래형 도시로, 도시 행정과 서비스 전반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스마트시티 사업을 통해 버스정보시스템, 도시통합센터(CCTV), 스마트 횡단보도 등 다양한 도시 서비스를 도입하고 도시 데이터를 수집해 국민 편의를 증진해왔다.
AI 시티의 핵심 목표와 추진 방향
이번 AI 시티 사업은 방대한 도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교통, 에너지, 안전 등 도시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국민 개개인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도시 전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의 정책과 예산 지원
국토부는 AI 대전환(AX: AI Transformation)에 발맞춰 세계 AI 시장을 선도하고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AI 시티 조성을 새 정부 국정과제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AI 특화 시범도시 사업지 선정과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40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첫 회의와 전문가 참여
첫 회의에서는 AI 시티 추진 TF 발족과 함께 도시, 건축, 공간정보, 교통 분야를 아우르는 추진 전략 수립과 시범도시 조성을 본격화하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I 분야 민간기업과 학계 전문가들도 참석해 최근 AI 기술 변화에 따른 정부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국토부의 비전과 의지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AI 시티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인공지능이 도시 계획과 운영을 주도하며 국민 생활을 혁신하는 새로운 미래 도시 모델"이라며 "이번 TF를 통해 유관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정책 수립과 추진 과정이 유기적으로 이어지도록 하여 조속히 성과를 창출하고 한국형 AI 시티 비전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