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창업보육센터 경쟁력 강화 나선다

중기부, 창업보육센터 경쟁력 강화 나선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창업보육센터 지원 예산이 매년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일부 보도에서 언급된 2020년 예산 180억원은 사실과 다르며 실제로는 124억원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창업 환경과 생태계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창업기업 육성 방식도 벤처투자, 오픈이노베이션 등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벤처투자회사(VC), 액셀러레이터(AC), 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사관학교, 팁스(TIPS) 등 다양한 창업지원기관이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기존 창업보육센터는 이러한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단순히 임대료가 저렴한 창업 공간 제공에 머무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2022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평가에서는 창업공간 제공을 넘어 센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2023년 보조사업 연장평가에서는 입주기업의 비용 분담과 자체 수익사업을 통한 자립 유도 및 보조율 점진적 인하가 요구되었습니다.
최근 5년간 자격을 자진 반납한 창업보육센터들의 경영평가 결과는 평균 대비 20% 이상 낮았으며, 보육 전문 인력 확보 노력과 운영 의지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정부는 기존의 뿌려주기식 정책에서 벗어나 경쟁력 있는 창업보육센터에 자원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개편하고 있습니다. 창업보육센터가 단순히 저렴한 창업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초기 창업기업 보육의 대표 인프라로서 차별화된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입주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비를 확대하고, 보육 기능이 미흡한 센터에 지급되던 운영비 보조는 중단했습니다. 또한 각 센터가 보유한 특화 역량을 활용해 입주기업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산학협력, 산업특화, 지역거점 등 특화 유형을 구분해 공모를 통해 경쟁력 있는 창업보육센터를 선발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 전체 예산의 65%를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수도권 센터에 배정하고, 인구 감소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는 별도 선발 및 지원하는 등 정책적 배려도 함께 추진 중입니다.
중기부는 앞으로도 창업보육센터 실태조사 등을 통해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추가 정책 대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