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확산 대비 야생멧돼지 방역 강화

겨울철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점관리 대책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겨울철 야생멧돼지의 활동반경이 넓어짐에 따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한 중점관리 대책을 마련하고, 관련 표준행동지침(SOP)을 개정해 14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신규 발생지역 없이 기존 발생지역에서만 간헐적으로 ASF가 발생하고 있으나, 최근 춘천과 화천 등 접경지역에서 양성 개체가 연이어 발견되어 이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방역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과학기술 활용한 포획 및 수색 강화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위성항법장치(GPS)가 부착된 포획트랩을 기존 120개에서 300개로 확대 재배치한다. 또한, 열화상 무인기(드론) 등 첨단 과학장비를 활용해 야생멧돼지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신속한 포획이 가능하도록 절차를 개선했다.
폐사체 수색을 강화하기 위해 수색반원의 활동지역을 조정, 접경지역에 18명에서 24명으로 인력을 추가 배치하고, 접근이 어려운 험지 구간에는 탐지견을 10마리에서 16마리로 늘려 수색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였다.
군부대 협조 및 신고포상금 제도 도입
접경지역은 군사보호구역 등 출입 제한 구간이 많아 폐사체 수색에 어려움이 있으나, 인근 군부대와 협조해 군인이 훈련 중 폐사체를 발견하면 즉시 신고하도록 안내하고, 신고 활성화를 위해 군인에게도 일반인과 동일하게 신고포상금 20만 원을 지급한다.
방역관리 및 유전자 분석 확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인위적 확산 방지를 위해 수렵인이 사용하는 차량과 총기 등에 대한 방역관리 실태를 올해 말까지 집중 점검한다. 주요 하천과 토양 등 환경 시료를 분석하고, 국내외 전파 경로 확인을 위한 유전자(DNA) 분석도 확대할 계획이다.
관리지역 체계 간소화
현재 5개 지역으로 나뉘어 있는 ASF 관리지역 체계를 행위 제한이 유사한 지역을 통합해 3개 지역으로 간소화하여 현장 혼선을 최소화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의 방역 의지
김태오 기후부 자연보전국장은 "겨울철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위험이 높아 사전에 위험요인을 줄이고 현장의 대응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위성항법장치가 부착된 포획트랩과 열화상 무인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한층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역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