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행정망 AI 챗서비스 도입 본격화

정부 행정망 AI 챗서비스 도입 본격화
정부가 행정 내부망에서 민간 인공지능(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를 도입한다.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중앙 및 지방정부가 내부망에서 삼성SDS와 네이버클라우드의 AI 챗서비스를 활용하는 시범 운영을 내년 2월 말까지 진행한 뒤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외 민간 AI 서비스는 보안 우려로 인해 인터넷망에서만 사용 가능해 정부 업무 전반에 활용하는 데 제약이 있었다. 이에 따라 민간 AI 기술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행정 업무에 적극 도입하지 못해 업무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번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는 보안이 확보된 인프라에서 민간 최신 AI 기술을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민간의 다양한 AI 모델, 학습 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중앙과 지방정부가 공동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중복 개발과 투자를 줄이고, 내부 행정업무부터 공공서비스까지 다양한 AI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공개된 행정문서와 데이터를 AI 모델과 연계해 내부망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삼성SDS와 네이버클라우드의 AI 챗서비스 2종을 제공한다. 또한 기관별 특화 AI 서비스 도입도 지원하며, 내년에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통해 선정된 AI 모델도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행안부와 과기정통부는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활용한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시범서비스도 시작한다. 이 플랫폼은 AI를 중심으로 메일, 메신저, 영상회의 등 소통·협업 도구를 연계해 단순 반복 업무를 줄이고 업무 집중도를 높이는 환경을 제공한다.
범정부 AI 공통기반은 공통 데이터뿐 아니라 개인과 기관이 보유한 내부 행정 문서와 데이터까지 활용해 보다 정확하고 맥락 있는 AI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서비스는 이달 말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시범 운영되며, 사용자 의견 수렴과 기능 검증, 품질 개선을 거쳐 내년 3월부터는 전체 중앙·지방정부로 확대될 예정이다.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개시 기념행사에서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서비스 시연과 향후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공공부문에 AI를 적극 활용해 정책 결정을 고도화하고 과학화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서비스 개시를 계기로 인공지능 3대 강국 실현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윤호중 장관은 "범정부 AI 공통기반 서비스로 공공부문의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정부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민간 최신 AI 기술을 공공부문에 적극 도입해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민주정부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