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일본식 한자어 정책용어 우리말로 전환
문체부, 일본식 한자어 정책용어 우리말로 전환
문화체육관광부가 일본식 한자어나 외국어로 된 정책용어를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책 정보에 대한 국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중앙행정기관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설치 및 운영 의무화
문체부는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어기본법' 개정안을 계기로, 중앙행정기관에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를 설치하고 연 1회 이상 개최하는 것을 의무화했습니다. 그동안 일부 중앙행정기관에서는 자발적으로 일본식 한자어나 외국어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노력을 해왔으나, 법적 의무가 없어 개선 속도가 더뎠던 것이 사실입니다.
일본식 한자어와 외국어 용어 개선 사례
예를 들어, 일본식 한자어인 '대합실'을 '맞이방'으로, 외국어인 '아이피(IP)'를 '지식재산'으로 바꾸는 등 각 기관별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행 법률상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구성과 개최에 관한 규정이 없어, 많은 기관이 자체적으로 개선에 나서야 했습니다.
법 개정으로 모든 중앙행정기관에 협의회 설치
이번 개정안 시행으로 현재 48개 중앙행정기관 중 33개 기관에만 설치되어 있던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가 모든 중앙행정기관에 설치됩니다. 또한, 2017년 제도 도입 이후 단 한 차례라도 협의회를 개최한 기관이 21개에 불과했던 현실도 개선될 전망입니다.
문체부의 선제적 홍보와 지원 계획
문체부는 법 개정 시행에 앞서 각 중앙행정기관에 관련 내용을 적극 알리고,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구성과 운영을 홍보할 예정입니다. 특히 우수 운영 사례를 널리 알려 일본식 한자어나 외국어 용어로 인해 국민이 겪는 불편을 해소하는 데 힘쓸 계획입니다.
유인촌 장관의 의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이번 국어기본법 개정을 계기로 중앙행정기관에 전문용어 표준화협의회 구성을 적극 홍보하겠다"며, "국민 생활에 밀접한 정책용어 순화에 힘쓰고, 어려운 용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정책 정보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