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청년 명장 시대 연다, 노동부 기특한명장 제도 출범

30대 청년 명장 시대 연다, 노동부 기특한명장 제도 출범
정부가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국가대표 출신과 직업계고 재학생 등 뛰어난 청년 기술인재를 조기에 발굴해 명장으로 육성하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했다. 고용노동부는 '기술인재 특별한 대한민국 명장'(이하 기특한명장) 제도를 신설해 청소년과 청년 숙련기술 인재의 성장을 적극 지원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명장 제도는 1986년 시작되어 40년간 총 719명의 명장을 배출하며 우리나라 숙련기술 발전을 견인해왔다. 그러나 기존 명장 선발은 15년 이상의 현장 경력을 요구해 평균 50대 중후반의 고령층이 주로 선정되어 청년층 진입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청년 기술인재가 명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을 하는 기특한명장 제도가 마련됐다.
기특한명장은 두 부류로 나뉜다. 첫째,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국가대표 경력자 중 만 34세 이하 청년으로, 희망자는 국제기능올림픽선수협회에 신청 후 선수협회장의 추천과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둘째, 직업계고등학교 재학생 중 전국기능경기대회 우수입상자, 국가기술자격 취득 우수자, 기술 분야 특허·발명 보유자 등 뛰어난 역량을 가진 학생으로, 학교장 추천과 시도교육청 심사를 통해 노동부에 추천되며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선정된다.
선정된 기특한명장은 매년 9월 9일 숙련기술인의 날에 시상 및 격려받으며, 올해는 제도 도입 첫해로 다음 달 별도 시상식이 예정되어 있다. 기술회원에게는 기특한명장 증서가, 학생회원에게는 증서와 장관상이 수여된다. 또한 대한민국명장 선발 시 가점 부여, 1:1 멘토-멘티 제도 운영 등 다양한 우대 혜택이 제공된다.
기특한명장으로 선발된 인재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시스템(hifive.go.kr)에 등록되며, 초·중·고 학생 대상 진로교육 특강 강사로도 활동하게 된다. 올해 19일부터 28일까지 선수협회와 시도교육청 추천 인력에 대한 심사가 진행되며, 다음 달 초 최종 심사 후 말에 시상할 계획이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기특한명장 제도를 통해 잠재력 뛰어난 청년 기술인재가 대한민국명장 등 숙련기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