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기 탄소중립녹색성장위 출범과 2035 감축목표
제2기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식 출범
정부는 24일 서울청사에서 제2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의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진행되었으며,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전문성·대표성 강화한 위원회 구성
제2기 탄녹위는 무탄소에너지, 수소,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 분야 전문가를 새롭게 영입해 전문성을 대폭 강화했다. 또한 여성과 청년 위원의 비중을 확대하고, 노동계와 농민 등 다양한 사회 계층을 대표하는 위원들을 신규 위촉해 위원회의 대표성을 높였다.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계획
정부는 탄녹위 심의를 거쳐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오는 9월 중 유엔(UN)에 제출할 예정이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무탄소에너지 확대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고 탄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기후기술 육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장기 목표와 전략을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중장기 비전과 핵심 과제 추진
탄녹위는 국가 중장기 비전 제시, 정책 성과 가시화, 협업과 소통 강화, 컨트롤타워 기능 보강을 주요 추진 전략으로 삼았다. 2031년부터 2049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 장기 비전 마련과 기후위기 적응 전략 수립을 통해 미래세대의 기본권 보장과 정책 일관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과학기술을 활용한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가속화, 기후테크 산업 활성화, 녹색금융 지원 강화, 글로벌 규제 대응 등 핵심 정책 과제를 선정해 지속적인 혁신과 성과 창출에 나선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기업, 근로자, 국민 등 사회 각계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기후위기 적응대책과 국민 안전 강화
탄녹위는 올해 관계부처와 함께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2026~2030)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는 이상기후로 인한 민생 부담과 안전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대책으로, 다양한 적응 주체의 참여를 독려해 사회 전 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적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제4차 대책은 "국민의 일상을 지키는 기후적응 선도국가 실현"을 비전으로 삼아 농수산물 가격 변동성 완화, 취약계층 대상 기후보험 상품 개발 등 민생 안정에 중점을 둔다.
사회적 합의와 국제적 책임 강조
탄녹위는 파리협정의 진전 원칙에 따라 도전적이면서도 실현 가능한 감축목표를 설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산업계, 시민사회, 노동계, 미래세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적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확정한 후 9월 중 UN에 제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