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농산물 유통비 10% 절감 전략

농산물 유통비용 10% 절감, 온라인 도매시장 50% 확대 목표
정부는 2030년까지 배추와 사과 등 핵심 농산물의 가격 변동성을 50% 완화하고, 유통비용을 10% 절감하는 스마트 농산물 유통체계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안정적인 유통 환경을 조성하고, 기후 위기에도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비중 대폭 확대
농림축산식품부는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규모를 현재 도매유통의 6% 수준에서 2030년까지 50%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도매시장 판매자 가입 요건을 완화하고, 물류비와 판촉 비용 등 필요한 지원사업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바우처를 제공한다. 또한 경매와 역경매 등 다양한 거래 방식을 도입해 농업인의 가격 결정 참여를 확대하고, 거래중개인 육성으로 산지와 소비지 간 연계를 강화한다.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확충
주산지를 중심으로 스마트 APC를 지난해 30곳에서 2030년까지 300곳으로 확대 구축한다. 자동 선별기 등 스마트 장비 지원을 확대하고, AI 기반 정보 분석 시스템을 도입해 유통과 물류 효율성을 높인다. 산지와 소비지 간 온라인 직거래 확대를 위해 농가와 온라인 전문 셀러를 연계한 판매 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도매시장 공공성 강화 및 경쟁 촉진
도매시장 경쟁 촉진을 위해 성과 부진 도매법인 지정취소 의무화와 신규법인 공모를 포함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 중도매인에 대한 성과 평가 제도도 2027년부터 도입할 계획이다. 도매시장의 기능을 경매 중심에서 물류거점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중장기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출하 가격 보전제 도입과 위탁수수료율 조정으로 도매법인의 공익적 역할을 확대한다.
소비자 정보 제공 및 대안 유통 경로 확대
소비자가 제철 농산물과 판매처별 가격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대국민 모바일 앱을 내년에 개발한다. AI 기술을 활용해 기능을 지속 고도화할 계획이다. 농산물 통합 정보 지원 플랫폼도 구축해 생산자와 소비자, 유통인이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로컬푸드와 직거래 등 유통 단계를 축소한 대안 경로도 확대해 지역 특산물 교류와 지역 간 연계를 강화한다.
안정적 생산과 유통 기반 마련
이상기후에 대응해 적정 재배면적 확보와 수급 관리 계획을 정부, 지자체, 생산자가 함께 마련한다. 노지채소 신규 재배 적지 확보와 과수·시설채소 스마트 생산단지 조성도 추진한다. 병해충과 이상기후 대응을 위한 민관 협업 방제 체계로 전환하고, 농가 단위 재해 예방시설을 확충한다. 출하 조절 품목 확대와 계약재배 물량 수매, 비축 역량 강화로 시장 대응력을 높인다. APC 역할을 수확 대행까지 확대해 농촌 인력 부족 문제에 대응하고, 생산부터 유통까지 일관 출하 체계를 구축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현장 이해관계자 및 관계 부처와 협력해 세부 추진 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발굴·확산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