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다양성 인식과 현실 점검

Last Updated :

한국 국민 27.3%만 문화다양성 잘 알아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통계청과 함께 실시한 '2024년 문화다양성 실태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 중 27.3%만이 문화다양성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우리 사회가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아직 충분히 확산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문화다양성 수준 50.8점, 5년 후 65.9점 기대

이번 조사에서 우리 사회의 문화다양성 수준은 100점 만점에 50.8점으로 평가됐습니다. 다만, 5년 후에는 65.9점으로 다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되어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됩니다.

문화다양성 증진 위해 교육과 인식 제고가 최우선

문화다양성 관련 교육 경험은 전체 평균 21.7%에 불과했으나, 15~19세 연령층에서는 68%로 가장 높았습니다. 교육 내용은 인권(56.8%), 장애인식 개선(55.5%), 문화다양성(43.8%), 다문화 수용성(24.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들은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해 교육과 인식 제고(30.1%)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꼽았으며, 법과 제도 정비(22.8%), 문화다양성 프로그램과 행사 확대(20.8%)가 뒤를 이었습니다.

사회갈등 완화와 문화예술 경쟁력 강화 기대

문화다양성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갈등 완화(26.9%), 문화예술 경쟁력 강화(21.8%), 사회구성원 삶의 질 향상(20.3%)에 기여할 것으로 국민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적 다른 사람과 교류 경험 16.8%, 미디어 편견 경험 54%

국적이 다른 사람과 교류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국민은 16.8%였으며, 주로 외국인 근로자(44.8%), 결혼 이주민(25.5%), 유학생(24.9%), 중국 동포(15.1%)와의 교류가 많았습니다. 한편, 국민의 절반 이상(54.0%)은 미디어를 통해 특정 문화나 집단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미디어 콘텐츠 다양성 제약 요인

미디어를 통한 콘텐츠 이용의 다양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는 주류문화에 집중된 콘텐츠 생산(22.2%), 대형 미디어 기업의 시장 장악(18.0%), 특정 문화에 대한 편견 반영 콘텐츠(13.0%), 알고리즘 기반 편향적 콘텐츠 소비(11.2%) 등이 지적됐습니다.

문체부, 문화다양성 정책 강화 의지 밝혀

이정우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이번 조사가 국민의 문화다양성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문화다양성 인식과 수준 향상을 위해 정책을 세심히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문화다양성 인식과 현실 점검
한국 문화다양성 인식과 현실 점검
기사작성 : 관리자
한국 문화다양성 인식과 현실 점검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22390
경기도 김포시 태장로 789(장기동) 금광하이테크시티 758호(10090) 대표전화 : 031-403-3084 회사명 : (주)프로스
제호 : 뉴스다오 등록번호 : 경기,아 53209 등록일 : 2022-03-23 발행일 : 2022-03-23 발행·편집인 : 김훈철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훈철
뉴스다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뉴스다오 © newsdao.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