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재활·복귀 전 과정 맞춤 지원 강화

공무원 재활·복귀 전 과정 맞춤 지원 강화
내년부터 일하다 다치거나 병을 앓는 공무원들이 치료비 보상부터 재활, 직무 복귀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받게 됩니다. 인사혁신처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상 공무원 재활·직무 복귀 지원 절차'를 발표했습니다.
기존 재해보상 제도가 치료비 지원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재활과 안정적인 직무 복귀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마련한 점이 특징입니다.
우선, 공무상 재해를 입은 공무원에게는 재활치료부터 심리지원, 업무 적응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전담 관리자(코디네이터)가 1대1로 연결됩니다. 전담 관리자를 통해 단계별로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받고, 요양을 마친 후 원활한 직무 복귀를 위한 정착 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1년 이상 공무상 요양 승인을 받은 공무원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시범 운영될 예정입니다.
또한, 전문 재활서비스 이용을 쉽게 하기 위해 전문 재활 협약병원을 확대하고, 6개월 이상 장기 요양 후 직무에 복귀하는 공상 공무원에게는 단계적 직무 적응 기간을 부여합니다. 직무교육과 동료 연결망 지원 등 복귀자를 위한 다양한 업무 적응 프로그램도 운영됩니다.
직무 복귀 전에는 스스로 신체와 마음 상태를 점검하는 자가 진단 절차가 마련되며, 요양 초기와 직무 복귀 전후 등 심리적으로 취약한 시기에는 집중 심리지원이 강화됩니다.
이번 절차는 공무상 요양 승인 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재해예방과 보상 분야 전문가 자문, 민간 및 선진국 우수 사례, 정책 관계자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수립됐습니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공무상 재해를 당한 공무원에게 치료비 보상에서 더 나아가 직무에 안정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재해 걱정 없이 직무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