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보안 통합 플랫폼 대공개!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민간주도 통합보안 모델
최근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통해 통합보안 모델을 개발 및 시범 운영하며 중동과 동남아 등 신흥보안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2024년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보안업계의 통합과 협업 이슈를 논의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있으며,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참여기관 및 기업을 선정하여 통합보안 플랫폼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단품 위주의 보안 솔루션보다는 통합보안 플랫폼이 사이버위협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는 통합보안 전략이 빠르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란?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는 산업계, 학계, 공공기관 및 연구계 등 다양한 관계자들이 주제에 맞게 자율적으로 참여해 성과를 도출하는 개방형 체계입니다. 정책, 기술, 시범사업 분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협업 저해 요소와 애로사항을 발굴·해소하고 협업 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정책분과에서는 협업 애로사항과 정책지원 수요를 발굴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하며, 기술분과에서는 상호연동 활성화를 위한 표준 및 원천기술 수요를 모색합니다. 시범사업 분과에서는 시범사업 선정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수요기반 실증 및 시장 상용화, 인센티브 방안을 탐색합니다.
- 글로벌 보안시장으로의 적극적인 진출
- 통합보안 전략의 빠른 도입
- 협업 문화의 확산
- 정책적 지원 및 수요 발굴
- 산업계, 학계, 공공기관 협력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의 주요 목표
협업 저해 요소 발굴 | 애로사항 해소 | 성과 도출 |
정책적 지원 수요 | 표준 및 원천기술 모색 | 시장 상용화 |
우수사례 공유 | 시범사업 선정 | 인센티브 방안 탐색 |
협업 문화 확산 | 통합보안 모델 개발 | 글로벌 시장 확대 |
통합보안 플랫폼의 필요성과 글로벌 보안시장의 빠른 변화에 따라, 국내보안 기업들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협업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구성하고, 협업을 장려하여 더 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동, 동남아 등 신흥보안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국내 보안산업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의 추진 계획
오는 7월 개최하는 정보보호의 날 행사에서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추진방안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이 행사를 통해 구체적인 정책 추진계획과 시범사업 선정, 그리고 협업 활성화 방안 등을 공표하여 보안업계의 관심을 적극적으로 끌어모으려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보보호를 강화하고 통합보안 플랫폼을 개발함으로써 사이버위협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