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문자, 더 상세하고 정확하게 진화한다
Last Updated :
재난문자 글자 수 확대, 국민 안전 강화
앞으로 재난문자의 글자 수 제한이 현행 90자에서 157자로 대폭 늘어나 국민들에게 더욱 상세한 대피 방법과 유의사항을 안내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재난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이 국민 안전과 직결된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2026년 전국 확대 적용 예정
행정안전부는 올해 일부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해 2026년에는 전국적으로 이 제도를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재난문자 서비스의 질을 한층 높이고 국민의 안전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중복·반복 발송 필터링 기능 도입
올해 3분기까지는 재난문자 발송 시 중복 및 반복되는 메시지를 걸러내는 필터링 기능이 도입됩니다. 이 기능은 국민이 재난문자에 피로감을 느끼거나 경각심이 둔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문자방송체계 세분화로 신속 정확한 정보 전달
현재 재난문자방송은 재난뿐만 아니라 민방공 및 실종 경보까지 포함하고 있어 운영 주체 간 혼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2026년까지 사용기관별 역할과 책임에 따라 문자방송체계를 기존 2종에서 4종으로 세분화하여 유형별로 맞춤형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계획입니다.
전문가 자문단 운영으로 정책 완성도 제고
행정안전부는 재난·방재, 정보통신, 언론·미디어, 한국어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하여 정책 이행의 완성도를 높여 나갈 예정입니다.
행안부 이한경 본부장, 재난문자 서비스 발전 의지 밝혀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재난문자가 국민에게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정부는 꼭 필요한 재난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받아볼 수 있도록 재난문자 서비스를 꾸준히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재난문자, 더 상세하고 정확하게 진화한다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22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