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정부 전문가 양성해 해외진출 가속
디지털정부 해외진출 이끄는 전문가 양성
정부가 한국형 디지털정부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공분야 전문가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5일 '2025년 디지털정부 해외진출 컨설턴트 1차 경력자 교육과정' 수료식을 개최하며, 인공지능(AI) 기반 공공업무 혁신 교육을 대폭 확대해 실무역량을 강화했습니다.
디지털정부 전문인력 육성의 역사와 성과
2014년부터 시작된 '디지털정부 해외진출 컨설턴트 양성과정'은 한국의 우수한 디지털정부 모델을 해외에 확산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입니다. 지난해까지 경력자, 담당자, 청년 영프론티어 과정 등을 통해 총 1661명의 교육생을 배출하며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해왔습니다.
올해 1차 경력자 과정 교육 내용
이번 1차 경력자 과정은 디지털정부와 AI·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경력을 가진 공공 및 민간 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2주간 온·오프라인 교육으로 진행됐습니다. 교육과정은 디지털정부, AI·ICT, 국제개발협력, 컨설팅 등 4개 분야 28개 과목으로 구성되어, 해외 진출 실무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실무 중심의 AI 및 국제개발협력 교육
교육생들은 AI와 데이터 시대에 맞춘 디지털정부 추진 전략, 해외진출 우수사례, 정보보호 및 보안 등 사례 중심의 체감형 교육을 받았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교육을 통해 실무에 즉시 활용 가능한 역량을 키웠으며, 국제개발협력 이론과 컨설팅 방법론을 익혀 공공사업 기획 능력을 강화했습니다.
지속적 후속지원과 네트워킹
행안부는 수료생들이 곧바로 해외진출 컨설팅 사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최신 교육자료 제공과 네트워킹 지원을 병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10월에는 2차 경력자 교육과정을 개설해 추가 전문인력을 모집하고 컨설팅 전문가 양성에 나설 예정입니다.
현장 전문가 소감과 향후 계획
한국국제협력단(KOICA) 박지원 씨는 "ICT가 반영된 국제개발협력사업 업무를 수행하며 AI 기반 공공사업 기획 역량 강화가 절실했는데, 이번 교육이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이번 교육으로 양성된 인력이 한국형 디지털정부 성공 사례를 전 세계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AI 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전문 컨설턴트를 지속 양성해 한국 디지털정부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