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간통합지도 고도화로 안전 국토관리 강화

국토교통부,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발표
국토교통부는 2025년을 맞아 '디지털 트윈국토' 조기 실현을 목표로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안전하고 편리한 국토관리 체계를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습니다.
지하공간통합지도 고도화로 위험 분석 강화
5800억 원 규모 공간정보사업 추진
올해는 총 1209개 사업에 5838억 원 규모의 공간정보 정책이 추진됩니다. 중앙정부는 104개 사업에 3819억 원, 지자체는 1105개 사업에 2019억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이는 1995~2005년 연평균 720억 원과 비교해 2023~2025년 연평균 5736억 원으로 약 8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중앙부처와 지자체별 투자 현황
중앙부처 중 국토교통부가 137건, 7707억 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며 가장 적극적인 투자를 보이고 있습니다. 광역지자체 단위에서는 경북, 경기, 서울 순으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4대 전략과 주요 사업
이번 계획은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의 4대 전략에 따라 연차별 실적을 점검하고, 디지털 트윈 구축, 플랫폼 고도화, 인재 양성, 기술 개발 등을 지속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구축·활용체계 마련 분야에는 전체 예산의 68%, 사업의 54%가 집중되어 있으며, 3993억 원 규모의 데이터 구축과 표준 마련 사업이 포함됩니다. 대표 사업으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 트윈 경쟁력 강화 사업과 국토부의 표준개발협력기관 지원 사업이 있습니다.
공간정보 유통·활용 활성화 분야에는 1095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되며, K-GeoP와 브이월드(V-World) 플랫폼 고도화 사업이 대표적입니다. K-GeoP는 65개 기관 107개 시스템에서 수집한 205종 1241건의 데이터를 통합해 행정 지원과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브이월드는 공개 가능한 공간정보를 공공과 민간에 제공해 신산업 창출을 지원하는 대민 서비스 플랫폼입니다.
산업 활성화 및 정책 기반 마련 분야에서는 750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되며, 공간정보 산업조사, 보안심사 및 안심구역 운영,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기술개발 등이 포함됩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의 의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디지털 트윈 국토 등 공간정보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국민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