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노동조합법, 노동시장 격차 해소 기여
Last Updated :

개정 노동조합법과 노동시장 격차 완화
최근 개정된 노동조합법에 대해 일부에서는 정규직 노동조합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고, 그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희생을 초래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용노동부는 이러한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노동시장 2중 구조와 기존 문제점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원청과 하청 간의 격차가 심화되어 왔습니다. 특히 원청이 하청 노동자의 근로조건에 실질적인 결정권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청 노동자들이 대화 요구를 하는 것 자체가 불법으로 간주되어 왔습니다. 이로 인해 하청 노동자들의 근로조건 개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노사 간 갈등과 대립이 지속되어 왔습니다.
개정 노동조합법의 주요 내용과 기대 효과
개정 노동조합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로조건에 실질적 결정권을 가진 원청과 하청 노동자 간의 직접 대화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갈등과 대립 중심의 노사관계에서 벗어나 대화와 타협을 통한 문제 해결이 기대됩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위에 있는 하청 노동자들이 원청과 직접 교섭할 수 있게 됨으로써, 노동시장 내 격차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용노동부의 입장
고용노동부는 개정 노동조합법이 정규직 노동조합 보호를 강화하는 법이 아니며, 오히려 원청과 하청 간의 대화를 촉진하여 상생과 협력을 도모함으로써 노동시장 격차를 완화하는 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개정 노동조합법, 노동시장 격차 해소 기여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24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