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연합, 첨단 무인체계로 대량살상무기 제거 훈련 성공
한미 연합 대량살상무기 제거 훈련 현장
지난 12일 경기도 파주시 무건리훈련장에서 한미 연합군이 대량살상무기(WMD) 제거를 위한 첨단 무인 복합전투체계 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훈련은 매년 상반기 실시되는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 FS)' 연습의 일환으로, 육군 25보병사단 해룡여단과 미 2사단, 한미연합사단 스트라이커여단이 참여했다.
미래전의 핵심,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투입
이번 훈련에서 가장 주목받은 점은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의 대규모 투입이다. 육군 25사단은 소총사격 무인항공기, 다목적 무인차량, 다족보행로봇,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을 운용했으며, 미군은 군사용 로봇 '팩봇(PacBot)'을 동원해 임무를 수행했다. 이러한 첨단 장비들은 전시 북한 지역에 은닉된 WMD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탐지·제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훈련 과정과 임무 수행
훈련은 육군특수전사령부 독수리부대 정찰팀이 가상의 WMD 의심시설을 발견하는 장면으로 시작됐다. ISTF(통합지원특수임무부대) 지휘관 마동혁 중령의 명령에 따라 무인항공기와 정찰드론이 실시간으로 적 병력과 시설 구조를 파악했다.
ISTF는 보병대대, 공병·화생방 지원부대, 폭발물처리반(EOD)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로, WMD 시설 장악과 초기 평가 임무를 수행했다. 적 병력이 곳곳에 숨어 있음을 확인한 ISTF는 소총사격 무인항공기와 다목적 무인차량을 선두에 배치해 공격을 개시했다.
소총사격 무인항공기는 건물 옥상과 산지에 숨어 있는 적을 탐지해 조준 사격을 실시했고, 다목적 무인차량은 5.56㎜ 소총을 장착해 기동하며 적을 제압했다. 병력은 무인차량의 엄호 아래 전진하며 적을 소탕했다.
동시에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과 다목적 무인차량은 지뢰지대를 돌파해 진입로를 확보했다. 시설 외곽이 확보되자 미군 WMD 대응부대(CWMD-TF)가 ISTF로부터 작전지휘권을 인계받아 내부 진입작전에 돌입했다.
미군 로봇 팩봇과 연합작전의 완성
CWMD-TF는 스트라이커여단 중대를 기반으로 한 WMD 대응 전문부대로, 시설 탐색·분석·불능화·제거 임무를 수행한다. 미군 장병들은 그라인더로 시설 출입문을 개방하고, 화생방 탐지기로 내부 오염 여부를 확인한 뒤 진입했다.
선두에는 군사용 로봇 팩봇이 배치되어 위협 요소를 탐지하고 안전을 확보했다. 팩봇의 안전 확인 후 미군 병력이 신속히 진입해 내부 정찰과 WMD 확보·제거 임무를 완수했다.
훈련 평가와 한미 동맹 강화
ISTF 지휘관 마동혁 중령은 "이번 훈련은 ISTF와 CWMD-TF의 연계 및 통합작전을 검증하는 귀중한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스트라이커여단 윌리엄 테일러 대위는 "한국군과 함께 훈련할 수 있어 기쁘며, 이번 훈련으로 한미 동맹이 더욱 공고해졌다"고 밝혔다.
육군 25사단은 이번 훈련 결과를 바탕으로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활용과 연합작전 발전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