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 바닷속 조선 조운선 인양 시작
600년 바닷속 조선 조운선 인양 시작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조선시대 조운선인 '마도4호선' 발굴 10주년을 맞아 선체 인양 작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양은 8일 오후 3시에 발굴조사 안전과 성과를 기원하는 개수제를 시작으로 충남 태안군 마도 인근 해역에서 총 14차수에 걸쳐 진행된다.
마도4호선은 약 600여 년간 바닷물에 잠겨 있던 선체 편들이며, 인양 후에는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에서 보존처리될 예정이다. 선체 인양과 함께 주변 해역에 대한 추가 조사도 병행된다.
2015년 처음 발굴된 마도4호선은 분청사기와 다량의 곡물 등 유물과 선박 구조를 통해 조선시대 세금으로 거둬들인 곡물을 운반하던 조운선임이 확인됐다. 역사 기록에만 남아 있던 조운선의 실체가 처음으로 밝혀졌으나, 그동안 선체 내부 조사만 이뤄졌을 뿐 인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난해 태안 마도 인근 해역 수중유산 탐사에서는 고선박 선체편과 다양한 도자류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이에 올해는 마도4호선 인양과 함께 고선박이 더 나올 가능성이 있는 유물 집중 매장지에 대한 시·발굴조사와 탐사도 광범위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태안 마도 인근 해역은 고려·조선시대 충청 이남 지역에서 거둔 세곡과 공납품을 싣고 개경이나 한양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지나야 하는 주요 해상 교통로였다. 이곳은 물길이 험해 '난행량'이라 불렸으며, 해난사고가 빈번해 많은 배가 침몰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392년부터 1455년까지 약 60여 년 동안 200척에 달하는 선박이 태안 안흥량에서 침몰한 기록이 전해진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2008년부터 2023년까지 태안 마도 인근 해역에서 총 10차례의 수중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선박 3척과 조선시대 선박 1척, 자기류, 목간 등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량의 유물을 발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앞으로도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해양사 복원을 위한 연구와 발굴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