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복구, 새로운 재생 모델로 나아간다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첫 회의 개최
정부는 3일,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의 첫 정책협의체 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는 중앙부처와 울산, 경북, 경남 지역의 지자체가 참여해 피해 지원과 종합적인 복구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단순 복구 넘어 지역 맞춤형 재생 모델 모색
회의에서는 기존 정책과 지원 사업을 피해 복구와 연계해 단순한 원상 회복을 넘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재생 모델을 마련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이는 산불로 인한 피해를 단순히 복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 회복을 동시에 도모하기 위한 전략이다.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신속한 복구 지원 체계 구축
이번 산불은 역대 최대 규모로, 다수의 인명과 시설 피해, 이재민 발생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낳았다. 이에 정부는 지난 1일 신속하고 효율적인 피해 복구를 위해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출범시켰다. 첫 회의에서는 복구 대책 추진 방향, 부처별 피해 지원 대책과 복구 계획 연계 가능 정책 발굴, 복구 예산 확보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기후 변화 대응과 지역경제 회복까지 고려한 종합 대책
산불로 인해 산림의 공익적 가치가 크게 훼손됨에 따라, 정부는 기후 변화 대응, 수자원 및 생태계 보호, 지역 경제 회복 등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복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지방 소멸 우려까지 감안해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한경 차장, "모든 역량 결집해 실질적 도움 제공" 강조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은 "피해를 입은 국민께 실질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모든 역량을 결집해 산불 피해 복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과 체계적인 지원으로 피해 지역의 빠른 회복을 지원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