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우주협력 강화 민간대화 개최
한미 민간우주대화, 우주협력 새 장 열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고위급 공식 양자 우주대화가 지난 14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제4차 한미 민간우주대화는 한국과 미국이 우주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우리 측에서는 존 리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과 한민영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이 공동 수석대표로 참석했으며, 미국 측에서는 라히마 칸다하리 국무부 과학·기술·우주 담당 부차관보와 카렌 펠드스타인 NASA 국제협력국장이 공동 수석대표를 맡았습니다. 또한 케빈 킴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환영사를 통해 한미 우주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10개 의제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 진행
이번 회의에는 양국 정부의 우주 관련 기관에서 각각 30여 명의 대표단이 참여해 10개 주요 의제를 중심으로 우주정책, 우주탐사, 우주과학, 위성항법, 우주상업, 우주규제, 지구관측 및 우주기상, 글로벌·지역 협력, 우주를 활용한 해양영역인식, 우주상황인식 및 우주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포괄적인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주요 협력 내용과 향후 계획
특히 우리나라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라그랑주 L4 임무 협력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NASA의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 성공적 발사를 환영하는 한편, IMAP 및 NOAA의 SWFO-L1 임무 등 미국의 다양한 우주 임무에 대한 한국의 지원과 협력도 약속되었습니다.
또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과 미국 GPS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강화, Landsat 2030 국제 파트너십 참여 가능성, 차세대중형위성 4호 등 위성정보 공유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되었습니다.
우주상황인식 역량을 활용한 안전한 우주비행과 우주의 지속가능성 증진, 해양 영역 인식을 위한 한국 해경청과 미국 국가해양정보통합국 간 협력 방안도 다뤄졌습니다.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시대에 맞춰 NASA의 저궤도 상업 우주정거장 및 상업 달 운송 서비스 프로그램에 우리나라의 참여 기회도 지속 모색하기로 했습니다.
이외에도 부품 시험 및 인증 결과 공유, 방사선 시험 데이터 공유 등 회복력 있는 우주 산업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과 수출통제 작업반 회의 개최 평가 및 후속 회의 지속 합의도 이루어졌습니다.
한미 우주협력의 미래
한민영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한미 간 구체적 협력 방안을 다양하게 논의하며 글로벌 포괄 전략동맹의 중요한 분야인 우주에서 양국 협력 강화 의지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존 리 우주항공청 본부장도 우주항공청 개청을 계기로 한미 우주 협력이 우주 과학과 탐사를 중심으로 본격화되고 있으며, 앞으로 기술, 산업, 안보, 정책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차기 회의를 2027년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하며 지속적인 협력 의지를 다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