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연고 국가유공자 93위 국립묘지 안장
무연고 국가유공자 93위, 전국 6개 국립묘지에 안장
국가를 위해 헌신했으나 가족 없이 홀로 세상을 떠난 무연고 국가유공자 93명의 유해가 전국 6개 국립묘지에 안장된다. 국가보훈부는 이들을 잊지 않고 끝까지 예우하기 위해 30일 국립서울현충원을 비롯한 국립괴산, 영천, 산청, 임실, 제주호국원에서 합동 안장식을 거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부터 국가보훈부는 전국 공설 봉안시설 무연고실에 안치된 1만 7405명의 국가유공자 유해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안장 심의 절차를 거쳐 73명의 국가유공자를 국립묘지에 안장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에 최근 인천가족공원에 안치된 무연고 국가유공자 20명을 포함해 총 93위의 유해가 국립묘지로 모셔지게 됐다.
국가보훈부는 무연고 사망자가 발생할 경우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전국 지방보훈관서를 통해 국가유공자 여부를 신속히 확인하는 체계를 마련해 국가를 위한 헌신에 마지막 예우를 다하고 있다.
30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합동 안장식 개최
합동 안장식은 30일 오전 10시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강정애 보훈부 장관 주관으로 시작된다. 이날 서울현충원에서는 무공수훈자와 전상군경 등 국가유공자 4위가 안장되며, 무공수훈자회, 상이군경회, 공군 및 육군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오후 2시부터는 국립괴산, 산청, 영천, 임실, 제주호국원에서 지방보훈청장 주관으로 동시에 합동 안장식이 진행된다. 괴산호국원에는 72위, 산청호국원 10위, 영천과 임실호국원 각각 3위, 제주호국원 1위가 안장된다.
국가유공자 예우 강화 위한 노력 계속
한편, 안장 심의에서 불승인된 무연고 국가유공자 유해는 무연고실이 아닌 일반실에 안치할 수 있도록 전국 공설 봉안시설과 협의 중이다. 이는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무연고자로 잊힐 뻔했던 국가유공자를 찾아내 국립묘지로 모실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국가를 위해 희생·헌신한 분들에 대한 명예 선양과 보상을 지속하고, 마지막까지 국가와 국민의 예우를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