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철강 위기, 정부 선제 대응 나선다

포항 철강산업 위기와 정부의 선제 대응
최근 포항 지역 철강산업이 글로벌 공급 과잉과 미국의 관세 부과 등 복합적인 통상 이슈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포항 지역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하고,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여부를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포항 철강기업과 지자체가 함께한 현장 간담회
2025년 6월 14일, 정부는 포항시청에서 포항 지역 철강기업 6곳과 경상북도, 포항시 관계자들이 참여한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 주재했으며, 포항 철강산업의 위기 상황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5일부터 기업 성장과 역동성 제고를 목표로 전국 현장에서 기업 부담 완화와 애로 해소를 위한 릴레이 간담회를 진행 중이며, 이번 포항 간담회는 그 일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통상이슈 대응과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논의
간담회에서는 글로벌 과잉 공급과 미국 관세 등 최근 통상 이슈로 인해 철강기업들이 겪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 참석 기업들은 제3국 우회 덤핑 방지를 위한 법령 개정 추진과 관세 피해 우려 수출기업에 대한 관세 대응 바우처 신설 등 정부의 정책적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앞으로도 철강 부문 통상 대응과 국내 시장 보호에 지속적인 노력을 요청했습니다.
또한, 근본적인 위기 극복을 위해 탄소 저감과 에너지 효율화 등 철강산업의 저탄소 전환과 산업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확대를 건의했습니다. 정부 측은 이에 대해 구체적인 저탄소 전환 및 산업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지역경제 파급 방지와 고용 안정 지원
참석자들은 철강산업 위기가 포항 지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특히 고용 안정 지원과 지역 협력업체 및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지원 확대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정부의 향후 계획과 의지
정부는 앞으로도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관계 부처와 협력하여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지속 운영하며,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규제 및 지원 제도 개선 과제를 발굴할 계획입니다. 오승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포항시와 지역 기업의 현재 여건을 고려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여부를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윤인대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통해 관계 부처와 지원 수단을 검토하여 조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