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보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5년간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 발생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총 204건의 살모넬라 식중독이 보고되었으며, 이로 인해 7,788명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여름철인 7월부터 9월 사이에 발생한 식중독 건수는 전체의 약 52%에 달하는 107건, 환자 수는 4,542명으로 집계되어 여름철 집중 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살모넬라 식중독은 주로 음식점에서 많이 발생했으며, 전체 발생 건수 중 63%인 129건이 음식점에서, 17%인 35건은 집단급식소에서, 5%인 10건은 즉석판매제조·가공업소에서 발생했습니다. 주요 원인 식품으로는 달걀을 사용한 달걀말이, 달걀지단 등 조리식품과 김밥, 도시락 등 복합조리식품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살모넬라는 가금류와 포유류의 소화관, 물과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성 세균으로, 오염된 식품 섭취 시 발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달걀과 알가공품 등 식재료의 취급과 보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달걀 구입 시에는 껍데기가 깨지지 않은 신선한 제품을 선택하고, 산란일자와 소비기한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구입한 달걀은 즉시 냉장 보관하며, 다른 식재료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분해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식점과 집단급식소에서는 대량 구매 후 상온에 장시간 방치하지 말고, 필요한 만큼만 구매해 2~4주 이내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조리 시에는 달걀, 육류, 가금류를 만진 후 손을 반드시 30초 이상 비누와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어야 하며,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식재료와 조리된 음식, 조리기구를 구분해 다루어야 합니다. 살모넬라는 열에 약하므로 중심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 가열 조리하는 것이 안전하며, 달걀은 노른자와 흰자가 모두 단단해질 때까지 익혀 먹는 것이 좋습니다.
조리기구는 열탕 소독이나 살균제를 사용해 세척하고, 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등으로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달걀물 혼합 용기는 주기적으로 세척·소독하며, 김밥 등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하는 조리 시에는 위생장갑을 수시로 교체해야 합니다.
음식점과 집단급식소에서는 구토, 설사, 복통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는 조리종사자는 조리에서 배제하고, 증상 회복 후에도 2~3일간 조리 참여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조리된 음식은 2시간 이내 섭취하거나 냉장 보관 후 충분히 가열해 먹어야 합니다.
소비자는 음식점에서 구입한 음식이 충분히 익었는지 확인하고, 야외활동 시에는 보냉백이나 아이스박스를 이용해 10도 이하로 보관·운반하는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앞으로도 계절별 식중독 예방 정보를 제공하고, 국민의 안전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