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투자, 연구생태계 완전 복원

Last Updated :
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투자, 연구생태계 완전 복원

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투자, 연구생태계 완전 복원

이재명 정부가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 3000억 원으로 편성하며, 무너진 연구생태계의 완전 복원과 '진짜 성장' 실현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2026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내년도 정부 R&D 예산은 국민주권 정부의 첫 번째 예산안으로, 체질 개선과 혁신을 기반으로 19.3% 증가한 35조 3000억 원 규모로 마련됐다. 이 중 주요 R&D 예산은 21.4% 증가한 30조 1000억 원이며, 이번에 심의·의결한 예산안은 정부 예산안 편성 과정을 거쳐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다.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 양대 축

내년 주요 R&D 예산은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을 중심으로 수립됐다.

경제 대도약 이끄는 기술주도 성장

  • 인공지능(AI) 분야에 106.1% 증가한 2조 3000억 원을 투자해 AI 생태계 전반의 독자적 역량 강화와 풀스택 연구개발에 집중한다. 범용인공지능(AGI), 경량·저전력 AI 등 차세대 AI 기술에 집중 투자하며, 피지컬 AI의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한 원천기술과 실증도 지원한다.
  • AI 인프라 생태계 강화로 대형·중소 데이터센터 간 고성능 네트워크 연동 기술 개발, GPU 자원의 효율적 공유·관리 및 AI 반도체 국산화를 추진한다. 연구·산업·공공 분야에 AI를 융합해 생산성을 높이고, AI 기본사회로의 전환을 가속한다.
  •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대동맥' 구축에 19.1% 증가한 2조 6000억 원을 투입한다. 초고효율 태양전지, 초대형·고출력 풍력 시스템 등 조기 실증 기술 개발과 국산화를 지원하며, AI 기반 에너지 관리시스템(EMS)과 차세대 전력망, 장주기 에너지 저장(ESS) 기술 개발로 지능형·분산형 에너지 고속도로를 실현한다.
  • 청정수소 전주기 밸류체인 구축과 소형모듈원자로(SMR) 핵심 원천기술에 지속 투자하며, 저탄소·저소비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산업공정혁신 기술과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확보도 지원한다.
  •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에 29.9% 증가한 8조 5000억 원을 투입해 첨단산업을 육성한다. 양자컴퓨팅, 합성생물학 등 원천기술 선점과 AI 반도체, 양자 내성암호 등 핵심기술 내재화에 집중한다.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로봇 등 실증기술 개발로 빠른 경제적 성과 창출을 지원한다.
  • 국방과학기술 혁신에 25.3% 증가한 3조 9000억 원을 투입해 방위산업 발전을 가속한다. K-9 자주포, 천궁 성능 고도화와 AI, 양자 기술 국방 접목을 강화하며, 첨단 전자전, 차세대전투기(KF-21), 첨단 항공엔진 국산화 연구를 지원한다.
  • 중소벤처 혁신에 39.3% 증가한 3조 4000억 원을 투입해 기업 R&D 지원을 체계화한다. 민간투자 연계형 R&D와 경쟁보육형 R&D를 강화하고, 대학·출연연 기술 고도화 및 실험실 창업 이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한다.

연구생태계 회복으로 모두의 성장 실현

  • 기초과학 생태계 고도화에 14.6% 증가한 3조 4000억 원을 투입해 창의·자율 기반 연구환경을 조성한다. 개인기초 연구과제 수를 1만 5311개로 확대하고, 기본연구 복원 및 비전임 교원 연구 참여 확대, 지원유형 단순화와 연구기간 연장으로 연구 자율성과 안정성을 높인다.
  • 최고급 인재 육성에 35% 증가한 1조 3000억 원을 투자해 맞춤형 지원과 해외 인재 유치에 집중한다. 이공계 인재 처우 개선과 산학연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첨단산업 핵심인력 배출을 강화하며, 글로벌 인재 유치 프로젝트(Brain to Korea)를 적극 추진한다.
  • 국가적 임무 중심 출연기관 혁신에 17.1% 증가한 4조 원을 투입해 중장기 대형 연구에 집중하고, PBS 제도 단계적 폐지와 5000억 원 규모 전략연구사업 신설 등 재정구조 재설계를 추진한다. 최우수 연구자 인센티브 신설로 연구 환경도 개선한다.
  • 지역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54.8% 증가한 1조 1000억 원을 투입해 지역 주도 자율 R&D를 지원한다. 권역별 예산 배분과 산·학·연 협력 연구 활성화, 혁신 클러스터 중심 연구성과 확산, 대규모 AX 연구개발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견인한다.
  • 재난안전 대응에 14.2% 증가한 2조 4000억 원을 투입해 AI, 드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감시·예방부터 대응·복구까지 전 주기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다부처 협력사업과 기술 공백 영역 발굴로 재난 대응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장관은 "이번 R&D 예산안은 역대 최대 규모로 연구생태계의 완전 복원과 진짜 성장 실현을 위해 파격적으로 확대했다"며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R&D 투자시스템으로 지속 가능한 연구생태계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투자, 연구생태계 완전 복원
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투자, 연구생태계 완전 복원
기사작성 : 관리자
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투자, 연구생태계 완전 복원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24870
경기도 김포시 태장로 789(장기동) 금광하이테크시티 758호(10090) 대표전화 : 031-403-3084 회사명 : (주)프로스
제호 : 뉴스다오 등록번호 : 경기,아 53209 등록일 : 2022-03-23 발행일 : 2022-03-23 발행·편집인 : 김훈철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훈철
뉴스다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뉴스다오 © newsdao.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