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 16개월 만에 감소! 무역 적자 전환?

Last Updated :

1월 수출 감소 추세

2025년 1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0.3% 감소하며 491억 2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6개월 만에 처음으로 수출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그 원인은 부분적으로 조업일수의 감소로 인한 것인데, 특히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4일 줄면서 수출 둔화가 발생했습니다. 반면,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7.7% 증가하며 기록적인 24억 6000만 달러를 달성, 이는 역대 1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라는 설명이 붙습니다.

반도체와 SSD 수출의 증가

2025년 1월 반도체 수출은 101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1% 증가했습니다. 이는 9개월 연속 100억 달러 이상의 수출 흐름이며, 15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긍정적인 지표입니다. 반도체 시장은 여전히 고부가 메모리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컴퓨터 SSD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율인 14.8%를 기록하며 8억 2000만 달러로 13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습니다. AI 서버를 중심으로 한 수요 증가가 이러한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 반도체 수출은 101억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1% 증가했습니다.
  • SSD 수출은 8억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4.8% 증가했습니다.
  • 전체 수출품목 중 반도체와 SSD가 가장 큰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자동차 및 일반기계 수출 감소

2025년 1월 자동차와 일반기계 분야에서 수출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자동차와 차부품은 각각 일평균 수출이 19.6%, 17.2%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하락세는 설 연휴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휴무로 인해 발생한 조업일수 감소 탓이 큽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전기차, 내연기관 차량의 수출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상대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의 수출은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수요 변화는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신호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중국 및 미국 시장에서의 수출 변화

2025년 1월에는 대(對)중국 수출이 춘절 연휴의 영향으로 14.1% 감소하여 91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시장에서의 감소는 IT 및 전자부품 수출의 둔화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특히, 반도체와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이 비교적 양호한 성과를 보였으나, 일반 기계와 석유제품, 디스플레이 부문에서의 수출감소가 전체 하락을 초래했습니다. 미국에 대한 수출도 자동차와 일반기계 부문이 둔화되어 9.4% 감소, 92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수출품목과 시장별 변화

반도체와 SSD 수출 증가 자동차 및 일반기계 수출 감소 중국 및 미국 시장에서의 수출 변화
전년 동월대비 8.1% 증가 일평균 수출 19.6%, 17.2% 감소 중국 수출 14.1% 감소, 미국 수출 9.4% 감소

1월 수입 감소와 에너지 분야 1월 수입은 전년 동월대비 6.4% 감소, 51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이사항으로는 에너지 관련 수입이 14.0% 줄어든 113억 6000만 달러로 나타나는데, 구체적으로 원유는 5.5%, 가스는 20.0%, 석탄은 35.0% 감소했습니다. 반면 반도체 및 기타 원자재 수입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실적으로 설 연휴 영향을 덜 받으며 3.9% 감소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감소는 무역수지에서 18억 9000만 달러 적자로 이어지며 전년 대비 무역적자는 21억 4000만 달러 감소했습니다.

국내 경제 전문가의 시각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작년 1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됐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이 전년동월대비 7.7% 증가했으며 대다수 품목과 시장에서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만큼 우리 수출 모멘텀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경제의 회복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대책

2025년은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 해로, 수출 증대 방안이 필수적입니다. 각 품목의 특성과 시장별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수출 전략이 요구됩니다. 특히, 반도체와 SSD와 같은 IT 산업의 성장은 계속 추진해야 할 중요한 분야입니다. 또한, 친환경 자동차 및 전자 제품의 수출 증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2025년 1월 수출입 동향은 여러 변수들에 의해 비롯된 결과였습니다. 단순히 수출 감소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장기적인 플러스 성장세와 꾸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다양한 대내외 경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향후 수출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산업계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반도체 수출 16개월 만에 감소! 무역 적자 전환?
기사작성 : 관리자
반도체 수출 16개월 만에 감소! 무역 적자 전환?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21942
2025-02-01 3
인기글
경기도 김포시 태장로 789(장기동) 금광하이테크시티 758호(10090) 대표전화 : 031-403-3084 회사명 : (주)프로스
제호 : 뉴스다오 등록번호 : 경기,아 53209 등록일 : 2022-03-23 발행일 : 2022-03-23 발행·편집인 : 김훈철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훈철
뉴스다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뉴스다오 © newsdao.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