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혁신하는 연구개발 미래
AI 활용으로 연구개발 혁신 가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연구개발(R&D)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고난도 연구역량을 확보하고, 우리나라가 글로벌 기술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AI+S&T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방안은 12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되었습니다.
AI 기반 8대 유망기술 분야 특화 모델 개발
이번 전략은 전 세계적으로 AI 활용이 연구개발 전반에 확산되는 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특히 지난해 노벨화학상 수상자가 AI를 활용한 연구자로 선정되는 등 AI가 과학기술 연구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AI는 신구조 및 신물성 발견, 시뮬레이션 가속화, 대규모 데이터 분석, 장기 실험 등 고난도 연구에서 난제를 해결하며 연구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주요 국가전략기술과 미래 유망기술 8개 분야에 특화된 AI 모델을 개발하여, 신구조·신물성 탐색, 반복실험 수행, 대량 데이터 분석 등 분야별 고난도 연구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특히 AI 활용이 활발한 혁신 신약과 차세대 신소재 분야의 성공 사례를 과학기술 전반에 확산할 예정입니다.
차세대 AI+S&T 기반기술 개발과 융합 연구 확대
또한, 초연산과 원리 규명 등 새로운 과학기술 지식 창출에 특화된 차세대 AI+S&T 기반기술 개발도 추진합니다. AI가 방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학적 원리를 도출하고, 더욱 복잡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안전한 원자로 운영, 중장기 기후변화 예측, 재난 및 범죄 대응 분야에도 AI를 적용한 융합 연구개발이 확대됩니다.
AI+S&T 인프라 강화와 전문인력 양성
과기정통부는 AI 활용 연구를 위한 컴퓨팅 자원 확충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올해 안에 600PF급 슈퍼컴퓨터 6호기를 구축하여 내년 상반기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며, 소규모 연산 자원에 특화된 40PF급 인프라도 마련해 출연연 등 연구기관이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AI 모델을 국내 산·학·연 연구자가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고품질 데이터 구축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소재와 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기존 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해 데이터 품질을 높이고, 정부 R&D를 통해 데이터 활용 체계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유상임 장관의 강조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과학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AI 활용 R&D 패러다임 전환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연구역량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절호의 기회"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전략을 통해 연구 현장에 AI를 내재화하여 차별화된 원천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신산업 주도권을 확실히 잡아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