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소금속 공급망 민관협의체 출범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위한 민관협의체 출범
반도체, 전기차, 기계·항공, 정유·화학 등 첨단 및 주력산업에 필수적인 희소금속의 글로벌 공급망 안보가 강화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민관이 협력하여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 주재로 오송 H호텔에서 제1회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속에서 업계 현황과 대응 전략을 공유하고, 국내 희소금속 공급망의 안정화를 위한 실질적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 구성과 역할
희소금속 산업발전협의회는 산업별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희소금속 소재의 특성을 반영하여, 공급, 재자원화, 수요기업 등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이 협의회는 국내 희소금속 공급망을 진단하고, 희소금속 관련 기술 분석을 통해 글로벌 수출통제에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핵심 희소금속 15종 우선 분석 추진
첫 회의에서는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리튬, 코발트, 니켈 등 15종의 핵심 희소금속에 대해 공급망과 연관 기술 분석을 우선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 15종은 희토류, 탄탈륨, 규소, 주석, 리튬, 코발트, 망간, 니켈, 타이타늄, 마그네슘, 텅스텐, 몰리브덴, 바나듐, 니오븀, 백금족 원소를 포함한다.
나성화 정책관의 강조와 향후 계획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첨단산업 중심으로 희소금속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번 협의회는 희소금속 확보부터 국내 생산과 유통까지 공급망 전반의 현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국내 산업의 취약점을 분석해 대안을 제시하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는 협의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국내 희소금속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수립할 계획임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