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 생필품·안부 확인 서비스 확대
안부살핌 우편서비스로 위기가구 지원 강화
행정안전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과 우정사업본부가 4월부터 전국 31개 지자체와 협력해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이 사업은 집배원이 사회적 고립가구를 주기적으로 방문해 생필품을 전달하고 안부를 확인함으로써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의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업 배경과 확대 현황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15개 지자체에서 시작된 이 서비스는 총 222회에 걸쳐 2656가구의 안부를 확인하고, 공공 및 민간 복지자원과 연계해 6240건의 지원을 완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에 올해는 참여 지자체를 31개로 늘려 더욱 광범위한 지역사회 고립가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집배원의 역할과 지원 대상
우체국 집배원은 지역 내 사회적 고립가구를 사전에 파악해 정기적으로 방문하며, 생필품을 전달하는 동시에 대상자의 생활 실태를 관찰해 지자체에 보고한다. 이를 통해 위기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맞춤형 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집중관리 대상은 중장년 1인 가구, 고립 청년, 조손가구 등 주기적 안부 확인이 필요한 위기가구다.
선정 지자체와 지원 내용
이번 사업에 선정된 31개 지자체는 서울 강남구, 부산 동래구·강서구·사상구·서구·기장군, 대구 동구, 대전 중구, 울산 울주군, 경기 동두천시, 강원 강릉시·영월군, 충북 청주시·옥천군, 충남 금산군, 전북 남원시·익산시·장수군, 전남 강진군·해남군·장흥군, 경북 구미시·안동시·고령군·성주군·의성군, 경남 거창군·고성군·산청군·창녕군·함양군 등이다. 이들 지자체는 1~4주 단위로 필요한 생필품을 우체국 집배원을 통해 집중관리 대상 가구에 전달한다.
사업 추진과 향후 계획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사업은 올해 연말까지 진행되며, 행안부는 선정 지자체에 물품 구매와 운영 비용을 국비로 지원한다.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은 "우체국은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살피고 소외된 이웃을 보살피는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행안부 및 지자체와 협력해 위기가구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구본근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장도 "사업 확대를 통해 사회적 고립가구의 안부를 주기적으로 살피고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