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하역장 안전장비 지원 확대
Last Updated :
항만하역장 재해예방 위한 안전장비 지원 확대
해양수산부는 항만하역 사업장 근로자들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추락사고 방지장치, 인공지능(AI) 기반 사고방지 장치, 응급구조설비 등 다양한 안전장비와 시설 설치를 지원한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해수부는 총 67개 항만하역 사업장을 대상으로 재해예방시설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국가가 사업비의 50%를 부담하고, 민간이 나머지 50%를 부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부산, 울산, 여수광양, 인천 등 주요 항만에서는 항만공사가 국비의 25%를 부담해, 올해 총 19억 원의 국비와 12억 원의 항만공사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지원사업은 평택항에서 발생한 청년 노동자의 안타까운 추락 사망 사고를 계기로 제정된 '항만안전특별법'에 따라, 항만 근로자들이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2022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지난 3년간 총 117억 원의 국비 및 항만공사 보조금을 투입해 177개 사업장에 안전시설과 장비를 보급해왔다.
올해는 74개 업체가 지원서를 제출했으며, 항만안전 전문가, 학계, 근로자 대표 등으로 구성된 사업평가단이 사고 예방 효과와 시설의 적합성을 평가해 67개 업체를 최종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주요 안전장비 및 시설
- 스마트 에어백: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빠르게 팽창해 인체 주요 부위를 보호하며, 자동으로 사고를 통보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 응급구조함: 크레인에 설치되어 구조 인력이 선박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 선박 내 사고 발생 시 골든타임 내 신속한 응급조치를 가능하게 한다.
- AI 기반 CCTV: 중장비 주변의 사람을 인식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인명사고를 예방한다.
항만은 24시간 운영되며 노동강도가 높은 작업 환경으로, 항상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항만 근로자들이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항만하역장 안전장비 지원 확대 | 뉴스다오 : https://newsdao.kr/23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