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조류경보일수 전년 대비 36% ↓…녹조 발생량 감소 - 환경부
환경부는 올해 여름철부터 11월 말까지 조류경보일 수를 바탕으로 전국의 녹조 발생 상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녹조 발생량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낙동강 야적퇴비 81% 수거와 녹조제거선 운영 등 녹조 종합대책 이행 강화와 전년 대비 강우량이 1.4배 이상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편 조류경보일 수는 조류경보제를 운영하는 29개소 52지점에 대한 모든 경보 발령일 수의 합계를 의미한다.
관심, 경계, 대발생 단계 등 전국의 조류경보일수는 낙동강 칠서지점에서 처음 발령된 지난 6월 8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476일이 발령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7일(36%)이 줄었다.
특히 해마다 녹조로 골머리를 앓았던 낙동강 유역에서 큰 감소폭을 보였는데 이번 분석 기간에 낙동강 유역의 조류경보 발령일수를 지난해와 비교해 보았다.
이에 총 경보 발령일수는 전년도 665일의 40% 수준인 267일로 나타났고 특히, 낙동강 수계의 ‘경계’일수는 지난해 206일의 7% 수준인 14일에 불과했다.
올해 전국의 강우량은 1722mm로 지난해보다 1.4배 이상 증가해 녹조 대응에 유리했지만, 평균 기온이 15.3℃로 전년대비 0.3℃ 올라 녹조가 증가할 우려도 있었다.
그럼에도 조류경보일수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오염원 유입을 저감하는 사전예방과 댐-보-하굿둑 연계운영 및 녹조제거선 도입 등의 사후대응을 포함한 녹조종합대책이 일정 부분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부는 낙동강의 하천·제방 등 공유지에 야적된 퇴비 640개를 일일이 조사해 지난 10월 말까지 518개의 퇴비를 수거하고, 수거하지 못한 퇴비에 대해선 덮개를 전부 설치했다.
이 과정에서 퇴비의 소유주를 확인해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계도하고 개별 축산 농가에 퇴비 덮개 약 1600개를 보급해 사유지 내 퇴비 관리도 강화했다.
또한 녹조가 예상될 경우 댐·보·하굿둑 연계 운영을 실시했는데, 지난 5~6월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과 칠서 지점의 녹조 대응을 위해 남강댐, 창녕함안보, 낙동강하굿둑을 2차례 연계 운영해 하천 유량을 조절해 물금매리, 칠서 등 낙동강 주요 취수원에서 녹조가 감소했다.
녹조 발생기간에 대형 및 소형녹조제거선, 수면포기기 등 녹조제거 장비 등을 통해 취수장으로의 조류 유입을 줄이고, 정수장에서는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가동해 먹는물 안전을 확보하는 등 다방면의 노력도 기울였다.
한편 환경부는 내년 녹조 발생에 대비해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야적 퇴비 수거 작업을 낙동강뿐만 아니라 금강, 한강, 영산강의 4대강 수계로 확대하고, 대형녹조제거선 16대, 소형녹조제거선 3대 등 녹조 저감 설비를 추가로 투입한다.
각 유역(지방)환경청마다 녹조가 다량 발생하는 지역을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별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올해는 야적퇴비 수거 등 다양한 대책들의 효과와 기상 영향 등으로 녹조 발생이 상당히 줄어들었다”며 “내년도 녹조 발생에도 철저한 준비작업을 거쳐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 환경부 물환경정책과(044-201-6999), 통합하천관리TF(044-201-7533)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