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안전 대책 강화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안전 대책 강화
소방청이 지하주차장 내 전기차 화재 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은 모든 지하주차장에 소화 및 경보 설비 설치를 의무화하고,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와 난연재료 이상의 보온재를 사용한 소화용 배관 설치를 포함합니다.
전기차 화재 맞춤형 소방시설 설치기준 마련
소방청은 전기차 주차가 가능한 모든 지하주차장에 소화설비와 경보설비를 설치하도록 하여 소방시설 미설치 사각지대를 없앴습니다. 특히, 배관에 항상 물이 차 있어 화재 시 신속하게 작동하는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 설치를 규정했습니다. 전기차 충전구역에는 아날로그식 연기감지기를 설치하고, 조기반응형 헤드를 주차면 당 2개 이상 설치하도록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소규모 주차장에는 연결살수설비 및 비상경보설비,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하며, 동파 우려가 있는 곳에는 동파방지 기능과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를 예외적으로 허용합니다. 또한, 소방대원이 소방차량을 이용해 소화수를 건축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스프링클러 설비의 송수구 연결배관 설치 기준도 명확히 했습니다.
지하주차장 전반 화재안전성능 강화
지하주차장 천장 가연물로 인한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소화용 배관에는 난연재료 이상의 보온재를 사용하도록 했으며, 내부 천장, 벽, 기둥 마감재료의 방화성능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는 R&D를 통해 지하주차장의 적정 방화구획과 배관 보온재의 화재확산 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화재대응체계 마련
소방청은 전기차 화재 특성과 지하주차장 환경을 반영한 '지하주차장 화재대응 표준작전절차'를 제정하고, 차종별 배터리 정보와 화재진압 신기술을 반영한 전기차 화재대응 가이드를 보완했습니다. 위기관리 표준매뉴얼도 개정하여 전기차 화재 시 대응 및 행동요령을 포함했습니다.
진압장비 확충 및 첨단장비 개발
소방청은 이동식 수조, 방사기기, 질식소화덮개 등 전기차 화재진압 장비 3종에 대한 소방관서 보유기준을 마련하고, 관서별로 장비를 보강할 예정입니다. 또한, 소방대원과 소방차량 진입이 어려운 지하주차장 화재 대응을 위해 현대자동차와 협력하여 무인 소방차량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은 "전문가와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부처와 협업해 실효성 있는 종합대책을 마련했다"며 "지속적인 점검과 보완으로 전기차 화재 안전과 지하주차장 전반의 화재 안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