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본격 추진
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본격 추진
정부가 2025년까지 전국 10곳 이내 지역을 대상으로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3월 17일부터 '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확산사업' 공모를 시작하며, 선정된 지자체에는 최대 160억 원의 국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도시, 첨단기술로 도시문제 해결
이번 사업은 인공지능(AI) 등 첨단 스마트 기술을 도시에 접목해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스마트도시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이 협력해 혁신적인 스마트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증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4가지 사업유형으로 구분된 공모
올해 공모는 거점형, 강소형, 솔루션 확산, 특화단지 조성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각 유형별로 지원 대상과 지원 규모가 다르며, 지자체는 자신에게 적합한 유형에 신청할 수 있다.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거점형 사업은 전국 확산의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 종합 도시를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별·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시·군 중 1곳을 선정해 3년간 최대 160억 원의 국비를 지원한다. 국비와 지방비는 1:1 매칭 방식이다.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강소형 사업은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소멸 대응 두 가지 세부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인구 100만 명 이하 도시 중 3곳을 선정해 3년간 최대 80억 원의 국비를 지원한다.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
이 사업은 우수한 스마트도시 솔루션을 소도시에 보급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구 30만 명 미만 도시 중 5곳 이내를 선정해 1년간 국비 12억 원을 지원한다.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사업
올해 새롭게 도입된 특화단지 조성사업은 스마트도시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혁신기술 연구·개발 기반을 갖춘 지역을 선정해 규제 완화, 실증공간 제공, 도시데이터 활용 지원 등을 통해 기업의 스마트서비스 실증을 돕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업해 AI 반도체 기반 모빌리티, 로봇 등 특화분야 실증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1곳을 선정해 3년간 최대 80억 원을 지원한다.
공모 일정 및 선정 절차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은 4월 14일부터 16일까지 접수하며, 5월 중 최종 선정한다. 거점형, 강소형, 특화단지 조성사업은 5월 19일부터 21일까지 접수하고 6월 중 최종 선정 예정이다. 평가위원회의 심도 있는 평가를 거쳐 선정이 이루어진다.
국토부의 기대와 당부
윤영중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AI,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확산되고 있는 만큼, 이번 공모사업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편리한 도시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며 "지자체가 기업과 협력해 지역경제와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혁신적인 스마트서비스를 적극 제안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