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세 충격에 2조 정책금융 투입
미국 관세 부과에 맞선 정부의 긴급 대응
정부는 미국이 자동차 및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자동차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2조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추가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자동차·부품 업계의 긴급 유동성 지원을 목적으로 하며, 추후 자금 소진 상황과 관세 영향 등을 고려해 추가 지원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지원과 세제 혜택 확대
내수시장 활성화 위한 전기차 보조금 확대
국내 자동차 수요 진작을 위해 전기차 보조금 지원 기간을 당초 상반기에서 연말까지 연장하고, 지원 비율도 기존 20~40%에서 30~80%로 대폭 확대한다. 또한, 공공부문 차량 구매를 조기 집행해 내수시장 활성화를 도모한다.
수출 다변화와 물류 지원 강화
정부는 자동차 수출 다변화를 위해 신시장 개척에 집중하며, 수출 바우처 예산을 1000억 원 이상 추가로 지원한다. 무역보험 지원 기간도 연말까지 연장하고, 부품기업에 전용 선복을 제공해 수출 물류 부담을 완화한다.
미래 기술 투자와 생산기반 강화
자율주행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관련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에 세액공제를 확대한다. 친환경 생산시설 범위도 확대해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24조 3000억 원 규모의 전기차 전용공장 및 연구개발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와 업계 협력으로 위기 극복
정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번 대책을 발표하고,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피해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법령·제도 개선을 신속히 추진해 지원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방침이다. 현대·기아차도 1조 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사 금융 지원에 동참한다.
미 협상 대응과 전략적 거버넌스 강화
대미 전략 거버넌스를 재정비하고 협상 의제를 지속 발굴해 동맹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관세 환경을 확보하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정부는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며 자동차 산업의 안정과 성장을 도모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