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현수막 재활용률 상승과 지자체 지원 확대
폐현수막 재활용 현황과 개선 노력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폐현수막은 총 5,408톤으로 집계되었으며, 이 중 1,801톤이 재활용되어 재활용률은 33.3%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3년의 폐현수막 발생량 6,130톤과 재활용률 29.6%에 비해 발생량은 11.8% 감소하고 재활용률은 3.7%포인트 상승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폐현수막의 절반 가까이가 재활용되지 않고 폐기되고 있어, 현수막 재활용을 위한 다양한 방안 모색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재활용 촉진 정책
이에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폐현수막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자원순환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제2회 폐현수막 자원순환 문화조성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또한 지자체 지원사업도 함께 추진하여 재활용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폐현수막 경진대회는 지자체와 민간 재활용 업체 간 협업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폐현수막 재활용 관련 지자체 조례가 5개에서 75개로 크게 증가하는 등 지자체의 재활용 노력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습니다.
경진대회 확대와 참여 안내
올해 경진대회는 공공부문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참가 대상을 지자체뿐만 아니라 공공기관까지 확대하였으며, 시상 규모도 행정안전부장관상과 환경부장관상을 각각 3점으로 늘렸습니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주요 폐현수막 재활용 실적과 계획을 5월 16일까지 환경부에 제출해야 합니다.
서류심사와 전문가 평가를 거쳐 9월 말 우수기관 6팀이 선정될 예정이며, 자세한 절차는 환경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수 사례와 정부 지원 사업
지난해 경진대회에서는 파주시가 공공부문 최우수상(행안부장관 표창)을, 경기도와 롯데마트가 민·관 협업 부문 최우수상(환경부장관 표창)을 수상했습니다. 파주시는 친환경 소재 사용과 폐현수막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전국 최초로 관련 조례를 제정해 모범을 보였고, 경기도와 롯데마트는 폐현수막을 전통시장에 기부하는 등 지역 상생에 기여했습니다.
정부는 지자체에서 수거한 현수막을 장바구니, 마대자루 등으로 재활용하는 한편, 환경친화적 현수막 제작 확대를 위한 지원사업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행안부는 75개 지자체에 총 14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했으며, 이를 통해 마대자루 69만여 개, 장바구니 및 앞치마 25만여 개, 환경친화적 제품 2만 7,000여 개가 제작되었습니다.
체계적 재활용을 위한 지침서 마련
또한 한국옥외광고센터와 한국자원경제연구소와 협력하여 '환경친화적 현수막 사용 및 재활용 지침서'를 제작, 각 지자체에 배포할 예정입니다. 이 지침서에는 수거 현수막 처리 방법, 지역별 재활용 업체 현황, 재활용 유형, 우수사례 등이 포함되어 재활용 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입니다.
정부 관계자들의 의지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폐현수막이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재활용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고품질 재활용을 위한 기술 개발 지원에도 힘쓰겠다"고 밝혔습니다.
노홍석 행안부 균형발전지원국장도 "관계기관과 기업, 단체들과 협력하여 재활용 관련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고 지속 지원함으로써 지역 중심의 현수막 순환 이용 체계가 확립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