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지역 산사태 응급복구 내달 중순 완료

산불피해지역 산사태 방지 대책 발표
산림청은 14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은 특히 올해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지를 집중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영남 산불피해지역 집중 관리와 응급복구
산림청은 산불 피해 상황을 반영해 산사태 위험등급과 피해 영향 범위를 긴급 조정하고, 이를 산사태정보시스템에 반영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대피소와 임시주거시설의 안전성, 대피경로 등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정비했습니다.
또한, 과거 대형 산불 사례를 분석해 산사태 발생 위험을 1~48시간 전에 예측하는 모델을 긴급 조정해 위험정보 누락을 방지했습니다. 산불 피해 지역 중 민가로부터 100미터 이내에 위치한 6466곳을 긴급 진단해 복구가 필요한 615곳을 선정했으며, 이 중 279곳은 다음 달 15일 이전에 최우선으로 응급복구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응 체계 강화
산림청은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험 예측 정보를 급경사지, 도로 비탈면 등 위험 사면을 관리하는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총괄부서까지 확대해 재난 대응 연계 체계를 강화했습니다. 제공 방식도 기존 문자메시지에서 알림톡으로 전환해 신속한 정보 전달과 주민 대피를 지원합니다.
총력 대응과 맞춤형 교육 확대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산사태 대응에 투입해 현장 대응을 강화하고, 지방자치단체, 경찰, 소방, 대피조력자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해 신속한 주민 대피를 추진합니다. 또한 산림조합과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유관기관의 장비와 숙소를 총동원해 응급복구와 임시주거시설 제공에 나섭니다.
산림청은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교육 대상을 공무원에서 민간조력자, 마을 주민, 어린이와 청소년 등 일반 국민까지 확대합니다. 이·통장협의회와 주민자치회를 활용해 민간조력자 교육을 강화하고,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산사태 안전 교육 교재를 개발해 3월부터 9월까지 학교 등에서 찾아가는 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주민 참여 사방댐 대상지 공모
주민이 직접 산사태 예방을 위한 사방댐 대상지를 신청할 수 있도록 공모를 진행하며, 신청 기간은 8월 29일까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산림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상섭 산림청장 발언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 피해 지역의 추가 피해가 없도록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태풍과 집중호우 등 위험 시기에 긴급재난 알림을 받으면 주저하지 말고 즉시 대피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