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17번째 등재 쾌거
반구천 암각화, 세계유산 17번째 등재 쾌거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외교부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현지시간 12일, 반구천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최종 등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2010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오른 이후 15년 만에 정식 세계유산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등재로 한국은 문화유산 15건과 자연유산 2건을 포함해 총 17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번에 등재된 반구천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 및 암각화를 포함하는 단일 유산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이 암각화가 뛰어난 관찰력과 사실적인 표현, 독특한 구도를 통해 한반도 선사인들의 예술성과 창의성을 보여주는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점이 돋보인다. 또한, 선사시대부터 6000년에 걸쳐 이어진 암각화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로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는 점도 높이 평가받았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상황을 세계유산센터에 보고할 것, 반구천세계암각화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보장, 관리체계 내 지역 공동체와 주민들의 역할 공식화, 그리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개발계획에 대해 세계유산센터에 알릴 것을 권고했다.
이번 반구천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외교부, 국가유산청,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그리고 해당 지자체가 힘을 모아 이룬 값진 성과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반구천 암각화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고, 지자체 및 지역 주민과 긴밀히 협력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