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취업자 18만명 증가, 고용률 역대 최고

6월 취업자 18만 3000명 증가,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5세 이상 취업자는 2909만 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만 3000명 증가하며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지난해 11월까지 45개월 연속 증가 후 12월에 잠시 주춤했던 취업자 수가 올해 들어 다시 꾸준히 증가하는 흐름을 보여줍니다.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 역대 최고 기록
6월 기준 15세 이상 고용률은 63.6%로 0.1%포인트 상승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3%로 0.4%포인트 올랐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도 65.4%로 0.1%포인트 상승하며 6월 및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산업별 취업자 증감 현황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21만 6000명(7.2%),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 10만 2000명(7.3%), 교육서비스업에서 7만 2000명(3.8%) 증가했습니다. 반면 농림어업은 14만 1000명(-8.7%), 건설업은 9만 7000명(-4.7%), 제조업은 8만 3000명(-1.9%) 감소했습니다. 특히 제조업은 12개월 연속, 건설업은 14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감소하며 건설업은 역대 최장기간 감소세를 기록했습니다.
연령별 고용 동향과 청년층 고용률 하락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34만 8000명, 30대에서 11만 6000명 취업자가 증가했으나 20대는 15만 2000명, 50대는 5만 3000명, 40대는 5만 5000명 각각 감소했습니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5.6%로 1.0%포인트 하락하며 1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실업률과 비경제활동인구 현황
실업자는 82만 5000명으로 3만 2000명 감소했고, 실업률은 2.8%로 0.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82만 8000명으로 4만 2000명(0.3%) 증가했으며, 이 중 '쉬었음' 인구는 243만 4000명으로 6만 명(2.5%) 늘었습니다. 특히 60세 이상과 50대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기획재정부의 고용 정책 방향
기획재정부는 내수 활성화 및 첨단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고, 청년 등 취약계층 고용 안정을 위한 핵심 과제를 지속 발굴할 계획입니다. 또한, 2차 추가경정예산 사업을 신속히 집행하고, 대미 관세협상 및 기업 피해 최소화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힘쓰며, AI 등 차세대 첨단산업 집중 육성 및 주력산업 고도화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일자리 창출 여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청년 등 취약계층 고용 안정을 위해 AI 등 첨단 분야 중심의 직업훈련과 일경험 등 일자리 사업을 확대하는 추가 과제도 지속 발굴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