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피해 신속 수습 통합지원센터 가동

호우피해 신속 수습 통합지원센터 가동
행정안전부는 최근 집중호우로 인해 대규모 피해가 발생한 지역의 신속한 피해 수습과 이재민의 조속한 일상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피해 주민들에게 필요한 각종 지원을 한 곳에서 안내하고 접수하는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마련한 것이다.
통합지원센터는 충남, 경남, 광주·전남 등 3개 권역에서 운영되며, 각 시군구는 지역 실정에 맞게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는 관할 지자체의 요청사항을 총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아 피해 주민들이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지원 내용은 민원 접수, 장례 지원, 의료 및 심리지원, 임시주거시설과 구호물자 지원, 통신·전력·가스 긴급복구, 법률 및 금융·보험 상담 등 다양하다. 이를 통해 피해 주민들이 일상으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총동원한다.
아울러 행정안전부는 이번 호우 피해 지역인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55억 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이는 지난 17일 경기도와 충청남도에 25억 원을 지원한 데 이은 조치로, 21일 이재명 대통령이 경남 산청지역 호우 피해 현장에서 "시급한 예산 지원 등 모든 자원과 행정력을 총동원해 피해 주민들을 지원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즉각적인 대응이다.
이번에 교부된 재난특교세는 피해 시설의 이재민 구호, 응급복구,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긴급 안전조치에 주로 사용될 예정이다. 또한 본격적인 현장 조사가 진행되면서 피해 규모가 확대될 경우 추가 지원도 검토할 계획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지자체에서는 이재민들이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세심하게 살피고,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긴급 안전조치에도 철저를 기해 달라"며 "행안부는 호우 피해 지역이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행안부는 피해자 지원사항을 체계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피해자 지원사항 표준 종합안내서'를 지자체에 배포했다. 이를 통해 각 지자체는 피해 상황과 지역 실정을 반영한 지원 사항을 피해 주민에게 신속히 안내할 수 있게 되었다.
김광용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피해 지역이 안정될 때까지 피해 주민 지원을 위한 통합지원센터를 지속 운영할 계획"이라며 "정부는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