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본격 가동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본격 가동
전 세계가 재생에너지 확대에 발맞춰 전력망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에 본격 착수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을 단장으로 관계 부처, 지방자치단체,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을 구성해 로드맵과 세부 추진 계획을 마련한다고 31일 밝혔습니다.
AI 활용한 지능형 전력망 구축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은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분산 에너지를 인공지능(AI) 기술로 제어해 전력 생산, 저장, 소비를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 즉 마이크로그리드를 의미합니다. 기존의 대형 발전기 중심의 단방향 전력망과 달리, 차세대 전력망은 배전망에 연결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이 수요처로 전력을 보내고 남는 전력은 송전망으로 다시 전송되는 양방향 계통을 구현합니다.
지역 단위 소규모 전력망으로 에너지 분권화
기존 전력망이 전국 단위의 송전망 중심이라면, 차세대 전력망은 지역 단위의 촘촘한 소규모 전력망을 배전망에 구축해 지역별 에너지 분권화를 가속화합니다. 마이크로그리드를 통해 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전체 전력망의 안정적 운영에도 기여할 전망입니다.
전남에서 첫 실증 사업 시작
차세대 전력망의 첫 실증 사업은 전라남도에서 진행됩니다. 전남은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많고, 한국에너지공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관련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어 시범 구축에 적합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너지공대는 에너지 기업, 연구기관, 스타트업이 협업하는 오픈 캠퍼스로 운영되며, 광주과기원, 전남대와 공동 연구 및 기술 창업 협력을 통해 에너지 신산업 창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맞춤형 전력망 실증 사업과 핵심 기술 개발
지역 배전망 실증과 별도로 산업단지, 대학 캠퍼스, 공항, 군부대 등 다양한 현장에 맞춤형 전력망 구축 실증 사업도 추진됩니다. 예를 들어, 철강업 중심의 산업단지에 재생에너지 단지를 조성하고 잉여 전력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해 탈탄소 공정에 활용하는 사례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또한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장주기 ESS 등 핵심 기술 개발과 재생에너지 판매 입찰 시장 확대, 주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 및 이익 공유 시스템 마련, 배전망 내 대규모 ESS 구축 등 다양한 정책이 함께 추진됩니다.
정부와 민간의 협력체계 구축
차세대 전력망 구축은 산업 전반과 전력시장 제도 개편을 아우르는 국가적 과제로,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 추진 체계가 필수적입니다. 이에 산업부는 이호현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추진단을 구성해 기재부, 국토부, 농식품부, 과기정통부, 국방부 등 관계 부처와 지자체, 유관기관, 민간 업체, 외부 전문가가 함께 참여합니다.
지역 에너지 분권화와 주민 참여 확대
산업부는 차세대 전력망을 통해 지역 에너지 분권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유럽의 마을 협동조합이 마이크로그리드를 공동 설치해 지역 발전에 활용하는 사례처럼, 주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과 이익 공유 시스템을 마련해 에너지 취약 지역을 RE100 마을로 전환하는 사례가 다수 나타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