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궤도선 다누리 3년, 달 전체 지도 완성

달 궤도선 다누리 3년, 달 전체 지도 완성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발사 3주년을 맞아 그간의 관측 성과를 공개했다. 우주항공청은 5일 다누리의 임무 수행 현황과 과학적 성과를 발표하며, 다누리가 세계에서 네 번째로 달 전체 지도를 완성한 점을 알렸다.
지난 2022년 8월 5일 발사된 다누리는 초기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친 뒤 두 차례 임무 연장을 거쳐 오는 2027년까지 활발한 관측을 이어갈 예정이다. 올해 2월 19일에는 고도를 60km까지 낮춰 달 표면에 더욱 근접한 관측을 수행 중이며, 9월 24일에는 연료 소비 없이 장기간 궤도 유지가 가능한 동결궤도로 전이해 임무를 지속할 계획이다.
첨단 탑재체로 달 착륙 후보지 집중 관측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는 2032년 발사 예정인 우리나라 달 착륙선의 후보 지역인 라이너감마와 섀클턴 크레이터 인근의 영상을 확보했다. 이 영상들은 향후 착륙지 선정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광시야 편광카메라는 달 전체 지도를 완성했으며, 달 표면의 편광지도 제작 작업도 진행 중이다. 감마선 분광기(KGRS)는 달 표면의 자연방사성 원소인 우라늄, 토륨, 칼륨의 분포 지도와 중성자 지도, 극지방의 물 추정 지도를 작성했다. 또한 산소, 철, 알루미늄, 칼슘 등 주요 원소 지도도 제작 중이다.
자기장측정기(KMAG)는 달 표면 자기장이 강한 라이너감마 지역 등 특이 지역에 대한 정밀 자기장 지도를 완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우주환경, 다이나모 형성과 진화, 달 내부구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 협력과 연구 활용 확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캠(ShadowCam)은 달 남·북극의 영구음영지역을 세계 최초로 관측해 얼음 존재 가능성을 확인했다. 다누리의 관측 자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KPDS 시스템을 통해 공개되어 국내외 연구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다누리 임무 연장 3년간 축적된 관측 자료는 달 지형, 환경, 자원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지금까지 3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발표되는 등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주도적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우주청의 미래 계획과 기대
강경인 우주항공청 우주탐사부문장은 "다누리를 통해 확보한 관측 데이터를 활용해 달 착륙선 착륙지 선정과 달 환경 이해, 국제 공동 연구 기반 마련 등 국내 연구자들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임무 연장을 통해 확보한 과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우주탐사 영역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