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대비! 해수부 종합상황실 24시간 운영
해양수산부의 태풍 대비 재난대응 계획
올여름 더운 날씨와 해수면 온도 상승에 따라 우리나라로 북상하는 태풍이 강한 세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해양수산부는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취약분야를 집중점검하고 종합상황실도 24시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해수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해양수산 분야 '태풍 대비 재난대응 계획'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12일 밝혔습니다. 해수부는 태풍으로 인한 인명피해 최소화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연안여객선, 어선, 양식장, 공사장, 항로표지, 다중이용시설 등 해양수산 분야 주요 시설에 대한 점검을 진행 중이며, 발견된 결함은 신속히 보완할 계획입니다. 특히 지난 10년 동안 해양수산 분야 태풍피해의 80%를 차지한 항만과 어항의 주요 시설은 본격적인 태풍철이 오기 전에 점검 및 보완조치를 마치고 태풍 내습 단계에서는 소형선부두, 잔교 및 컨테이너 크레인 등 강풍에 취약한 시설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해양수산부의 태풍 대비 재난대응 방안
해양수산부는 태풍으로 인해 예상되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 방안을 준비 중입니다. 연안여객선, 어선, 양식장, 공사장, 항로표지, 다중이용시설 등을 집중 점검합니다. 또한 전국의 양식장에 대해서는 지자체별로 양식장 고정설비 등을 점검하고 어업인 대상 안전교육과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해당해서 종합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해 실시간 상황관리태세도 유지합니다.
- 항만과 어항 주요 시설 점검
- 지자체별 양식장 고정설비 점검
- 어업인 대상 안전교육 및 캠페인 진행
- 태풍 대비 행동요령 홍보물 배포
- 종합상황실 24시간 운영
태풍 내습 대비 주요 대상
소형선부두 | 잔교 | 컨테이너 크레인 |
물류창고 | 양식장 설비 | 연안여객선 |
어선 | 항로표지 | 다중이용시설 |
공사장 | 화물 선박 | 민간 출입 제한 |
특히 태풍이 접근할 때는 무역항 내 화물선의 선제적 대피를 유도하고 민간인의 방파제 출입을 제한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태풍으로 인해 발생한 쓰레기는 관계기관과 협력해 신속히 수거하고, 양식수산물 피해가 발생할 경우 보험금을 조기에 지급해 어가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인명피해 최소화 및 대응
해양수산부는 태풍으로 인한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철저한 사전 점검과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사전 점검과 선제적 대응으로 태풍피해를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장에서는 운항 및 조업 안전뿐만 아니라 양식장 설비 등을 사전에 점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태풍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현장에서도 운항·조업 안전은 물론, 양식장 설비 등을 사전에 살펴 미비점 발견 때 즉각 조치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종합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여 실시간 상황을 관리하고, 태풍에 대비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 인명피해 최소화
- 사전 점검 및 선제적 대응
- 안전한 운항 및 조업
- 양식장 설비 점검
- 실시간 상황 관리
해양수산부의 다양한 대책
해양수산부는 태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태풍 대비 행동요령을 숙지하고, 필요한 교육과 홍보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합상황실 운영, 지자체와의 협력, 보험금 조기 지급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모든 국민이 태풍 대비에 동참하여 안전한 여름을 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문의처 및 추가 정보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 해사안전관리과(044-200-5853), 해운물류국 연안해운과(044-200-5238)·항만안전보안과(044-200-5791)·항만운영과(044-200-5775), 항만국 항만기술안전과(044-200-5972), 어촌양식정책관 어촌양식정책과(044-200-5392)·어촌어항과(044-200-5657), 어업자원정책관 어선안전정책과(044-200-5526)·수산자원정책과(044-200-5542)·지도교섭과(044-200-5561), 수산정책관 소득복지과(044-200-5471), 해양환경정책관 해양보전과(044-200-5301), 해사안전국 항로표지과(044-200-5874)로 문의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